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359
한자 冬柏
영어공식명칭 Common Camellia
이칭/별칭 동백,산다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애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2년 12월 7일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136호 지정
지역 내 자생|재배지 내륙|원산도|삽시도|호도|외연도 상록수림 - 충청남도 보령시 지도보기 지도보기 지도보기 지도보기
성격 상록 활엽 교목
학명 Camellia japonica L.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피자식물문〉목련강〉딜레니아아강〉차나무목〉차나뭇과〉동백나무속
높이 7m
개화기 2~4월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내륙 및 섬에 있는 차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개설]

충청남도 보령시의 동백나무는 내륙 및 섬에 분포되어 있다. 동백나무는 국내 전역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동백나무는 상록 활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7m이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며 타원형이나 긴 타원형을 띠고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길이는 5~12㎝, 너비는 3~7㎝로 표면은 광택이 나며 짙은 녹색이다. 꽃은 적색으로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1~3월에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 길이 1~2㎝의 난상원형이고, 꽃잎 5~7개가 밑에서 합쳐진다. 수술이 많이 달리며, 수술대는 흰색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는 지름 3~5㎝로, 둥굴고 녹색 바탕에 붉은색이 돈다.

[생태]

동백나무는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내한성(耐寒性)이 약해 내륙 지방에서는 월동이 어렵다. 어릴 때는 그늘에서도 잘 견디나 자라면서 양수로 변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안에 각기 다른 뿌리에서 자란 두 그루의 동백나무가 이어진 틈새가 없이 공중에서 맞닿아 하나의 가지로 연결된, 신기한 사랑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예부터 사랑하는 남녀가 나무 사이를 통과하면 두 사람의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참고문헌]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https://www.kbr.go.kr)
  • 국립수목원 소식지(https://www.forest.go.kr/kna/webzine/2014/1/s1.html)
  • 보령시청(https://www.brcn.go.kr)
  • 부산역사문화대전(http://busan.grandculture.net/?local=busan)
  • 서울시농업기술센터(https://agro.seoul.go.kr)
  • EcoBank(https://www.nie-ecobank.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