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464
한자 柳舜翼
이칭/별칭 여중(勵仲),지강(芝岡),충정(忠靖),청천군(菁川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9년연표보기 - 유순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2년 - 유순익 생원시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99년 - 유순익 별시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06년 - 유순익 면천군수·예조좌랑·함경도도사·집의·판결사·강원도관찰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14년 - 유순익 순천부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6년 - 유순익 판결사·공조참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유순익 정사공신 3등에 녹훈, 청천군에 봉해짐.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유순익 사은부사로 명나라 파견
몰년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 유순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94년 - 유순익 우찬성 추증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진주
대표 관직 우찬성

[정의]

조선 후기 문신으로 후손들이 보령 지역에 세거하고 있는 인조반정의 공신.

[개설]

유순익(柳舜翼)[1559~1632]은 기호학파의 거유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1534~1599]의 제자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반정군이 들어오는 시간에 분병조참의(分兵曹參議)로 궁궐의 문을 여는 임무를 수행하여 공신이 되었다.

[가계]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여중(勵仲), 호는 지강(芝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홍경(柳弘慶), 할아버지는 유유일(柳惟一)이다. 아버지는 판결사 유사규(柳思䂓), 어머니는 전주 이씨 이숙(李淑)의 딸이다. 부인은 안동 권씨 권주(權澍)의 딸이다.

[활동 사항]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1599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때 방목(榜目)에 기록된 거주지는 한성이다. 1606년 면천군수를 거쳐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 대동찰방(大同察訪), 사도시 정(正)을 거쳐 1614년 순천부사를 지냈는데, 이때 순천의 죽도봉에 있는 환선정(喚仙亭)을 중건하였다. 1616년 판결사(判決事),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지냈다. 이후 해서안찰사, 동부승지(同副承旨), 승정원 우부승지, 공조참의, 병조참지(兵曹參知), 관동안찰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대에 이이첨(李爾瞻)[1560~1623]이 폐모론(廢母論)[광해군의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기 위해 벌인 논쟁]을 주장할 때 반대하는 여론을 일으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때 서궁(西宮)에 입직(入直)하면서 반정군이 궁으로 들어올 때에 맞추어 금위군의 방비를 느슨히 하여, 문을 열어 반정군을 맞이하였다. 인조 즉위 후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녹훈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졌다. 이후 ‘이괄의 난’[조선 인조 때인 1624년 이괄·한명련 등이 일으킨 반란] 때에는 인조를 충청도 공주까지 호위하였고, 도중에 부총관을 겸임하면서 난이 평정되자 그 공로로 가자(加資)되었다. 1625년(인조 3)에는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반정 초에는 경연에서 이이(李珥)[1536~1584]를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자고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유순익은 충청도 일대에 널리 퍼진 기호학파의 거유 구봉 송익필의 제자이다.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지은 묘갈명이 전한다. 유순익의 후손들이 보령 지역에 세거하고 있다.

[묘소]

경기도 용인에 있던 유순익의 묘가 지역 개발로 이장되었는데, 이장 과정에서 출토된 복식 등이 경기도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상훈과 추모]

인조반정 때 정사공신 3등에 녹훈되고 청천군에 봉해졌다. 1694년(숙종 20) 우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