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황리갯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85
한자 小篁里‒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독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소황리갯벌 - 충청남도 보령시
해당 지역 소재지 소황리갯벌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독산리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독산리에 있는 갯벌.

[개설]

갯벌은 밀물 때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평평한 해안 퇴적 지형으로 조간대, 간석지, 개펄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육상 생태계 쪽에 염생 식생이 정착되어 있는 곳을 염생습지라고 하며, 해양 생태계에 가까운 쪽을 갯벌이라고 한다. 한국의 경우 염생습지는 대부분 간척되어 간석지를 갯벌이라 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갯벌은 세계적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큰 한반도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갯벌은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서해안 및 남해안의 갯벌과 주변 생태계에서는 어류 200여 종, 갑각류 250여 종, 연체동물 200여 종, 갯지렁이류 100여 종 이상이 서식한다. 하천으로부터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물이 갯벌에 유입될 때 갯벌의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이 유속을 떨어뜨려 부유 물질과 그 밖의 여러 물질이 퇴적된다. 또한 갯벌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 물질의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갯벌은 자연 재해와 기후 조절의 기능도 갖고 있는데, 갯벌은 마치 스펀지처럼 홍수나 빗물 등을 흡수한 뒤 천천히 내보낸다. 동시에 갯벌은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높은 수위를 일단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갯벌은 강의 하구나 바닷가의 침식을 막고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령시 해안 일대의 갯벌로는 천북면 사호리갯벌, 오천면 영보리갯벌, 주교면 송학리갯벌, 주교면 은포리갯벌, 남곡동 해망산갯벌, 남포면 월전리갯벌, 웅천읍 관당리갯벌, 웅천읍 독산리갯벌, 웅천읍 소황리갯벌 등이 있다.

[명칭 유래]

소황리갯벌은 갯벌이 있는 웅천읍 소황리의 지명을 따라 부른 것이다. 소황리는 본래 남포군(藍浦郡) 웅천면(熊川面) 지역으로서 황골 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이었으므로 ‘작은 황굴’ 또는 ‘소황동(小篁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황리 일부를 병합하여 ‘소황리’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소황리갯벌은 부사방조제에서부터 독산리에 이르며, 웅천천 하구와 가깝고 기반암 노출이 없으며, 주로 모래로 구성된 사질(沙質) 갯벌이다. 사질 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되어 있고, 바닷물의 흐름이 빠른 수로 주변이나 해변에 주로 나타난다.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갯벌의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사질 갯벌은 모래 알갱이의 평균 크기가 0.2~0.7㎜ 정도로 유기물의 함량은 적다.

[현황]

소황리갯벌에서는 몸길이 약 65㎝의 노랑부리백로를 볼 수 있다. 온몸이 흰색이고, 머리에 장식깃이 있다. 가슴과 등에도 곧은 장식깃이 있지만 짧고, 부리는 노란색이다. 눈언저리는 푸른빛을 띠며, 다리는 검정색이나 발가락은 노란색 또는 누런 녹색이다. 해안의 만, 간석지, 갯벌 등지에 살면서 물고기나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우리나라, 일본, 타이완[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국제자연보존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과 국제조류보호회의[ICBP, International Council for Bird Preservation]에서 적색자료목록[전 세계의 멸종 위기에 빠진 동식물 목록과 실태 및 보호대책 등을 수록한 책자] 2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멸종 직전의 국제 보호조이다.

또한 소황리갯벌 인근의 소황사구 해역 일대가 국내 첫 ‘해양경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부사방조제를 만들기 이전에는 통달산 남쪽 웅천천 하구와 연결되는 곳에 백합조개가 많이 서식하였으나, 현재는 맛조개, 큰구슬우렁이 등이 많이 잡힌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상(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보령시지』중(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1:50,000 지형도』-보령(국토지리정보원, 2021)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 무창포어촌계(http://www.muchangpo.org)
  • 소황사구(http://sosh.kr)
  • 보령시청(https://www.brc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