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70
한자 大興山城
영어공식명칭 Daeheu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산36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성현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대흥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산36 일원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크기(높이,길이,둘레) 239m[둘레]
면적 3,352㎡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대흥산에 있는 백제 시대 산성.

[개설]

대흥산성(大興山城)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대흥산 정상부에 있는 테뫼식 토축산성이다. 부분적으로 성벽의 흔적이 보이나 숲이 우거져 있어 성의 윤곽을 알아보기는 어렵다. 부여 가림성과 함께 방어성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대흥산성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산36번지 일원에 있다. 높이 139m의 대흥산 정상부에 있다.

[형태]

대흥산성은 둘레가 약 239m이고 내부 면적은 약 3,352㎡이다. 평면 형태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부정형을 띤다. 산성 내부와 주변에는 소나무와 활엽수가 혼합된 수목이 우거져 있고 동문지 안쪽과 북동쪽 사면에는 민묘가 있다.

성벽은 부분적으로 토축한 흔적이 보이나 대부분 훼손되어 윤곽을 확인하기 어렵다. 동쪽과 서쪽의 능선 진입로에 문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성 내부의 지형은 완사면을 이루는데 동쪽의 높은 지형은 망루 등이 있고, 북쪽의 완경사 지형은 병영지와 같은 건물지 등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성내에서는 백제 기와와 토기편이 약간 수습되고 있다. 대흥산성의 관측 및 방위 대상은 산성 북쪽의 세도면 반조원리의 나루터들,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교통로, 동쪽의 사동천 유역의 취락지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대흥산성은 형태와 입지로 볼 때 사비도성의 남부 거점성인 부여 가림성과 함께 방어성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