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53
한자 答李茂伯
영어공식명칭 Reply To Lee-moobaek
이칭/별칭 「이무백에게 답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43년 - 「답이무백」 저자 정구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20년 - 「답이무백」 저자 정구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80년 - 『한강집』 간행
배경 지역 사수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도동리 35]지도보기
성격 서간류|서
작가 정구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이윤우와 나눈 문답과 편지.

[개설]

「답이무백(答李茂伯)」의 저자 정구(鄭逑)[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이며,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답이무백」정구이윤우와 나눈 문답과 편지이다.

이윤우(李潤雨)[1569~1634]의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무백(茂伯)이며, 호는 석담(石潭)이다. 아버지는 이희복(李熙復)이며, 어머니는 청도김씨(淸道金氏)이며 김숭(金崇)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정구 말년에 정구의 곁을 지키며 병간호를 한 측근 제자이다. 저서로 『석담집(石潭集)』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의 사양서원(泗陽書院)과 경상북도 성주군의 회연서원(檜淵書院)에 제향되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한강집』에서는 「답이무백」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이무백에게 답하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답이무백」『한강집(寒岡集)』에 다섯 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한 편은 문답 형식이다.

[내용]

「답이무백」 다섯 편 중 문답 형식의 작품은 『예기(禮記)』와 예학(禮學)에 관계된 열 개의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지 형식으로 된 나머지 네 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로(官路)로 진출하는 이윤우에 대한 당부의 말과 축원, 그리고 반드시 전력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여 주길 바라는 내용이다. 이윤우가 초기 관료로 진출할 때의 편지인 듯하다.

2. 이윤우가 과거에 급제하여 고향으로 금의환향한다는 편지를 받고 답한 편지이다. 이윤우가 160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의 편지인 듯하다.

3. 근황을 묻는 이윤우의 편지에 답한 편지이다. 정구의 저서인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의 완성을 묻는 이윤우의 질문에 공정을 완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말하고 있다. 이윤우가 담양부사로 있을 때의 편지인 듯하다.

4. 이윤우가 상례(喪禮) 때 복제(服制)의 변례(變禮)에 대하여 질문하자 답을 보낸 것이다. 당시 국상이 있었는데, 이윤우도 방친(傍親)의 상을 당하여 복제에 대하여 질문한 것이다. 정구는 과거의 경험을 통하여 정성스럽게 답을 하고 있다. 이어서 그간에 있었던 일에 대한 서술과 『효경대의(孝經大義)』라는 책을 구하여 주길 바라는 내용도 보인다.

[특징]

「답이무백」이윤우의 편지에 대한 답장이며, 예학에 관한 질문에 답을 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질문들이 변례(變禮)이거나 세세한 부분을 묻는 것이지만 에두르지 않고 명확하게 답을 하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답이무백」은 영남 예학의 중심에 있었던 정구의 학문에 대한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