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862
한자 八達新市場
영어공식명칭 Paldal New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로33길 59[노원동3가 75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노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76년 4월 8일연표보기 - 팔달신시장 등록
최초 설립지 팔달신시장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로33길 59[노원동3가 750]
현 소재지 팔달신시장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로33길 59[노원동3가 750]지도보기
성격 전통시장
면적 1,287㎡[대지면적]
전화 053-357-4953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에 있는 전통시장.

[개설]

팔달신시장(八達新市場)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에 있는 지역 상권형 중대형 전통시장이다.

[건립 경위]

1970년대 접어들면서 대구시는 도시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도시 근교가 개발되면서 1969년 7월에 개설된 팔달시장의 수용력의 한계와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1976년 4월 8일 팔달시장 북편 삼공단 대로변에 팔달신시장이 개설되었다.

[변천]

팔달신시장은 대구광역시의 관문인 팔달교와 인접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의성군, 안동시 등지에서 생산된 청과와 채소류 거래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채소 도매시장으로 호황을 누렸다. 특히 팔달시장팔달신시장은 하나의 상권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서문시장, 칠성시장과 함께 대구시의 3대 시장에 포함될 정도로 규모가 크다.

1988년 10월 북구 매천동대구 농수산물 도매시장이 개장한 후 농산물 도매 기능이 이전하면서 경매 허가가 취소되었고, 시장 기능도 하락하여 시장 고객도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 인근 및 경상북도 일대에서 생산되는 싱싱한 채소를 당일 새벽 3시에 공급받아 대구 지역 전통시장과 마트는 물론 경상북도 전역에 청과류와 채소류를 소매 및 도매로 공급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6년에는 370m 길이의 아케이드를 설치하여 시장을 찾는 고객들과 상인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구성]

팔달신시장은 대지면적 1,287㎡이며, 건물 형태는 상가주택 복합형이며, 총점포 수는 650개이다. 편의시설은 고객 쉼터, 아케이드, 방송 시설, 무선통신[WiFi], ATM, 주차장, 화장실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소방시설로는 스프링클러, 소화전, 소화기, 경보기 등을 갖추고 있다.

[현황]

팔달신시장팔달시장과 묶으면 서구 비산5동, 원대동북구 노원동3가 일대가 팔달시장 생활권이 된다. 팔달신시장 내 상인 중 70%가 채소류, 30%는 과일, 생선, 식품류, 공산품 등을 판매하고 있어 아직도 채소 소매상들에게는 중요한 거래처이다. 영업시간은 오전 2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정기 휴일은 개별 휴무이다. 온누리상품권과 전자상품권을 이용할 수 있다. 「전통시장법」에 따라 시군구청 등록 상인회가 있으며, 가입률은 93%이다. 상근 직원 5명이 근무하고 있다. 팔달신시장번영회는 사무실과 회의실 및 교육장까지 갖추고 있으며 상인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팔달신시장 인근에 대구도시철도 3호선 팔달시장역이 있으며, 관광지로는 하중도[1.1㎞], 대구오페라하우스[2.7㎞]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