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857
한자 大邱 月城洞 遺蹟 遺物 一括
영어공식명칭 Daegu Siji-dong Yujeok2|Archaeological Site 2 in Siji-dong, Daegu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김병섭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집자리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유물 일괄.

[내용]

대구 월성동 유적은 월배 선상지 북쪽의 독립 구릉인 가무내산[138.2m] 서남쪽 경사면 말단부에 았다. 1988년과 1997년 경북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청동기시대 집자리 5기와 1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집자리에서 출토된 유물은 토기류와 석기류, 토제품으로 구분된다. 토기의 형태는 항아리[壺]와 바리[鉢]이며, 구멍무늬토기[孔列文土器], 골아가리토기[口脣刻目土器], 짧은빗금무늬토기[短斜線文土器]가 확인되었고, 민무늬토기 바닥 조각이 다수 확인되었다. 석기는 슴베 없는 돌화살촉[無莖式石鏃], 대팻날도끼[扁平偏刃石斧], 기둥 모양 대팻날도끼[柱狀偏刃石斧], 숫돌[砥石], 갈판[碾石], 갈돌[石棒], 돌검[石劍] 조각, 미완성 석기가 확인되었다. 토제품은 가락바퀴[紡錘車]가 확인되었다.

대구 월성동 유적에서 주목되는 유물은 구멍무늬토기와 골아가리토기, 짧은빗금무늬토기와 슴베 없는 돌화살촉, 대팻날도끼인데, 이상의 유물들이 청동기시대 전기의 대표적인 유물이기 때문이다.

대구 월성동 유적은 조사 당시 대구광역시 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청동기시대 주거 유적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인접한 가무내산 동남쪽 사면 말단부 대구 송현동 유적에서도 청동기시대 전기에 해당되는 14기의 집자리가 확인되었고, 겹입술골아가리토기[二重口緣口脣刻目土器]를 비롯한 민무늬토기와 조갯날도끼[蛤刃石斧], 대팻날도끼, 돌화살촉, 돌칼[石刀]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었다. 이로써 가무내산 사면 말단부에 청동기시대 전기의 마을 유적이 넓게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의의와 평가]

대구 월성동 유적대구 송현동 유적의 집자리와 유물과 더불어 대구광역시 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구릉지에 형성된 마을 유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