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757
한자 大邱 - 五十年史
영어공식명칭 The History of Daegu Munhwa Broadcasting Corp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00[범어동 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2014년 - 『대구 MBC 50년사』 대구문화방송 편찬
간행 시기/일시 2014년연표보기 - 『대구 MBC 50년사』 대구문화방송 간행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12월 3일 - 『대구 MBC 50년사』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에서 최우수상 수상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지도보기
간행처 대구문화방송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00[범어2동 1]지도보기
성격 단행본
저자 박철우|박선희|대구문화방송
편자 대구문화방송
간행자 대구문화방송
표제 대구 MBC 50년사

[정의]

2014년 대구문화방송이 창사 50주년을 기념하여 대구 MBC의 역사를 기록한 책.

[개설]

『대구 MBC 50년사』는 1963년 한국문화방송 대구국으로 라디오국이 창설된 이후 50년 간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하여 편찬되었다. 1963년 8월 8일 오전 8시에 대구광역시 중구 전동 사옥에서 라디오 방송을 첫 송출한 뒤 공정하고 신속한 보도, 건강한 오락과 교양, 지역 문화를 창출하겠다는 각오 아래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대구 MBC의 50년 역사를 화보집과 함께 담아 낸 정통 사사이다. 2014년 12월 3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2014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에서 『대구 MBC 50년사』가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대구 MBC 50년사』의 주요 집필자는 박철우, 박선희이다. 편찬 기간은 1년 4개월이 걸렸다.

[서지적 상황]

『대구 MBC 50년사』국립중앙도서관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대구 MBC 50년사』는 총 두 권의 책과 한 개의 컴퓨터 파일로 간행되었다. 1권 본문편은 379쪽, 2권 화보·자료편은 205쪽이다.

[구성/내용]

『대구 MBC 50년사』 1권 본문편에서는 대구 MBC의 역사와 현황들을 다루고 있다. 통사와 부문사로 나뉘어져 있는데, 통사는 총 여덟 개의 주제로 서술되었다. 제1장은 달구벌을 깨운 새로운 희망의 소리[1963~1970], 제2장은 ‘소리’와 ‘영상’이 만나 민간 상업방송의 새 길을 열다[1917~1974], 제3장은 방송과 문화의 중심, 범어동 1번지[1974~1979], 제4장은 언론 탄압의 시련을 딛고 민주화 시대의 주역으로[1980~1988], 제5장은 급변하는 방송 환경과 21세기를 향한 도전[1989~1999], 제6장은 신사옥에 맞는 새 천년, 방송의 미래를 이끌 경쟁력을 키우다[2000~2003], 제7장은 디지털방송 시대, 혁신하는 대구MBC[2004~2007], 제8장은 지역민과 함께한 50년, 새로운 도약의 100년을 향해[2008~2013]이다. 부문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었고, 편성 제작, 정론 보도, 기술, 경영, 노동조합, 권익 방송 등의 주제를 담고 있다. 『대구 MBC 50년사』 2권 화보·자료편은 초기 대구 MBC 건물 사진을 비롯한 현황 화보, 연혁 화보와 주요 사진들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문화방송의 지역 방송국으로서 시청자와 청취자, 그리고 지역민들의 문화 발전에 기여한 대구 MBC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