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북구 숭인출장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338
한자 城北區崇仁出張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나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49년 8월 13일연표보기 -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성북구 숭인출장소 설치
공포 시기/일시 1949년 8월 13일 -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성북구 숭인출장소 공포
시행 시기/일시 1949년 8월 13일 - 성북구 숭인출장소 설치
폐지 시기/일시 1973년 1월 1일 - 성북구 숭인출장소 폐지
개정 시기/일시 1973년 1월 1일연표보기 - 성북구 숭인출장소가 폐지되고 서울특별시 성북구로 단일화
관할 지역 성북구 숭인출장소 관할 지역 - 서울특별시 성북구|서울특별시 도봉구|서울특별시 노원구 일대
성격 행정 구역

[정의]

1949년부터 1973년까지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성북구, 노원구 일대를 관할하던 행정 구역.

[개설]

성북구 숭인출장소(崇仁出張所)는 1914년에 신설되었던 경기도 고양군(高楊郡) 숭인면(崇仁面)이 1949년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됨에 따라 설치되었던 현재의 성북구와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일대의 행정 구역 명칭이다. 관할 범위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미아동·번동·수유동·우이동, 성북구 장위동·석관동·상월곡동·하월곡동·정릉동 일대이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숭인면은 원래 한성부 동부 숭신방과 인창방 지역이었는데, 1911년 4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7호와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5부 8면제가 시행되면서 경성부 숭신면과 인창면이 되었다. 이어 1914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이 되었다. 이때 숭인면에는 성북리·신설리·안암리·종암리·미아리·돈암리·정릉리·번리·수유리·우이리·답십리·전농리·청량리·회기리·휘경리·이문리·장위리·석관리·상월곡리·하월곡리·제기리·용두리가 속하게 되었다.

이후 1936년 4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8호와 경기도 고시 제32호에 의한 경성부 구역 확장에 따라 숭인면 중 안암리·성북리·신설리·종암리·돈암리·답십리·회기리·휘경리·전농리·청량리·이문리·제기리·용두리와 정릉리 일부가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숭인면은 미아리·번리·수유리·우이리·장위리·석관리·상월곡리·하월곡리·정릉리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후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숭인면 전체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됨에 따라 숭인면은 폐지되었다. 또 숭인면 관할 지역은 대통령령 제160호에 의해 성북구 숭인 출장소가 설치되어 관할하였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8호에 의해 성북구에서 도봉구가 분리·신설됨에 따라 서울특별시 조례 제780호에 의해 성북구 숭인출장소는 폐지되었다. 신설된 서울특별시 도봉구는 성북구 숭인출장소노해 출장소 관할 구역을 합쳐 22개 행정동을 관할하였다.

[내용]

숭인(崇仁)이라는 지명은 조선 초기부터 있었던 한성부 숭신방과 인창방에서 첫 글자를 합성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숭인면으로 통합되어 경기도 고양군에 속해 있다가 광복 직후인 1949년에 일부가 먼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로 편입되었고, 뒤이어 숭인면 전체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해당 지역은 숭인출장소가 설치되어 관할하였다. 1973년 서울특별시 도봉구가 신설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의의와 평가]

광복 직후부터 1973년까지 약 30년 동안 성북구 숭인 출장소가 설치되었던 기간 동안 현재의 성북구, 도봉구 일대는 본격적으로 서울의 외곽 지대에 편입되면서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었고, 그 결과 도심 지역의 인구를 수용하고 농촌에서 올라온 인구를 수용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