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여흥 민씨묘 출토 적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504
한자 赤衫
영어공식명칭 Jeok-sam, Summer jacket or undershirt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6년 - 여흥 민씨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56년 - 여흥 민씨 사망
출토|발견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여흥 민씨묘 적삼 출토
소장처 경기도박물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상갈동 496]
출토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동래정씨 선영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지도보기
성격 의복
재질 명주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래 정씨 선영의 여흥 민씨묘에서 출토된 조선 시대 남녀의 여름용 홑저고리.

[개설]

적삼은 조선시대 남녀 공용의 홑저고리 또는 속저고리를 가리킨다. 여흥 민씨묘 출토 적삼은 두 점으로 각각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추정된다. 남성용 적삼은 출토 당시의 상황으로 보아 수례지의(襚禮之衣)에 따른 부장품으로 보인다.

[연원]

1989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관악산 동래 정씨 선영(先塋)에서 흥곡공파 정광경(鄭廣敬)[1586~1644]의 배위(配位) 여흥 민씨의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형태]

여성용으로 추정되는 동작구 사당동 여흥 민씨묘 출토 적삼은 목판깃에 홑옷이며 길이는 43㎝이다. 옷고름과 동정이 없으며 화장은 68㎝이다. 남성용으로 추정되는 적삼은 둥그레깃으로 소매 끝에 18㎝의 한삼이 달려 있다. 홑옷의 특성상 바느질한 솔기와 입었을 때 힘을 받는 부분이 미어지지 않도록 바대를 대었으며 고름 1쌍 역시 고름바대를 두어 고정했다.

[용도]

적삼은 조선 시대 남녀 공용의 여름용 홑저고리 또는 속저고리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여성의 분묘에서 여성용과 남성용 적삼이 모두 출토되어 조선 후기 수례지의 풍속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