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505
한자 裳, 裙
영어공식명칭 Chi-ma, Skirt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6년 - 여흥 민씨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56년 - 여흥 민씨 사망
출토|발견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여흥 민씨묘 치마 출토
소장처 경기도박물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상갈동 496]
출토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동래정씨 선영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지도보기
성격 의복
재질 능(綾)|주(紬)
입는 시기 겨울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래 정씨 선영의 여흥 민씨묘에서 출토된 조선 시대 여성의 치마.

[개설]

치마는 저고리와 함께 입는 아래옷이다. 동작구 사당동 여흥 민씨묘 출토 치마는 모두 여섯 점으로 솜치마와 누비치마가 각각 세 점씩 포함되어 있다. 여흥민씨묘에서 출토된 솜치마 중 두 점은 꽃무늬가 있는 능직[花紋綾] 옷감 사이에 솜을 둔 것이고 나머지 하나의 솜치마는 주(紬) 사이에 솜을 넣었다. 누비치마 세 점은 모두 무늬가 없는 주(紬)로 만들었다.

[연원]

1989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관악산 동래 정씨 선영(先塋)의 여흥 민씨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형태]

여흥 민씨묘 출토 치마의 폭수는 재질에 따라 달라서 화문릉 치마는 다섯 폭, 주(紬) 치마는 열폭에서 열두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마 여섯 점의 길이는 대략 85.5㎝~95㎝ 사이이며 치맛단 전체 폭은 307㎝~360㎝이다. 각 치마에는 30~40개 정도의 주름이 잡혀 있다. 치마 주름은 앞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며 오른쪽 끝에 주름을 잡지 않고 남겨둔 부분이 있다. 치마의 주름을 잡지 않은 위치와 치마 말기에 달린 끈의 길이 차이로 보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오른꼬리 치마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흥민씨묘 출토 솜치마에는 약 1㎝ 두께의 솜을 두었으며 누비치마의 경우 솜은 0.5㎝ 정도 두께로 두고 1.2㎝~3㎝ 간격으로 누볐다. 치마 말기의 길이는 81㎝~98㎝, 말기의 폭은 2.5㎝~4.5㎝이다.

[용도]

여흥 민씨묘 출토 치마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을 두거나 누벼서 만든 조선 시대 여성의 겨울용 아래옷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여흥 민씨묘 출토 치마 중 누비치마 한 점의 치마말기에서 한지에 싼 치아가 발견되었으나 상징성이나 의미 등은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의의]

여흥 민씨묘 출토 치마는 피장자의 생몰년이 확실한 매우 드문 사례로 조선 후기 사대부가 여성 복식을 실질적으로 고증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