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의 유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87
이칭/별칭 「노들강변은 고유명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수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 「노들의 유래」 『동작구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4월 - 「노들의 유래」 「노들강변은 고유명사」 『국토』에 수록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 주변을 흐르던 한강을 지칭하는 ‘노들강변’의 지명 유래에 관한 글.

[개설]

「노들의 유래」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 주위의 한강을 가리키는 ‘노들강변’이 일반명사가 아닌 고유명사라는 점을 밝힌 글이다.

[채록/수집 상황]

「노들의 유래」은 1997년 4월 국토연구원에서 간행한 『국토』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주변의 한강을 가리키는 ‘노들강변’은 버드나무가 무성하게 흐드러진 강변을 뜻하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이다. 노들강변노량진 주변의 한강이라 볼 수 있는데, 노량진의 ‘량(梁)’자는 우리말의 ‘돌’과 같은 의미이므로 ‘노량(露梁)’은 ‘노돌’이다. 때문에 ‘노돌’로 불리던 것이 ‘노들’로 불리게 되고 강변이 붙어 ‘노들강변’이란 고유명사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노들강변’의 지명 유래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국토연구원에서 간행한 『국토』에 실린 「노들강변은 고유명사」이란 글에서와 같이 ‘노량(露梁)’은 ‘ ’노돌’이고, 이것이 ‘노들’로 변한 것으로 보기도 하며, 『낭만과 전설의 동작구』나 『땅위에 새겨진 우리의 역사』에서와 같이 ‘노량(鷺梁)’을 우리말로 풀면 ‘백로가 놀던 징검돌’로 보아 ‘노돌’이던 것이 ‘노들’로 불리게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또 『동작구지』에 수록된 「노들의 유래」라는 이야기에서는 노들강변 지역에 늙은 돌이 있었다는 데서 ‘노들’이라는 명칭이 비롯되었다고도 보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