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관설당유허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671
한자 觀雪堂遺墟序
영어의미역 The Epitaph to Gwanseolda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임호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학작품
작가 이이(李珥)
창작연도 1566년연표보기
주요 등장인물 충렬공 박제상|요(堯)|순(舜)|탕(湯)|무(武)왕|공자(孔子)|소무(蘇武)

[정의]

충열공 박제상의 행적을 기록하고 가치를 평가한 글.

[개설]

관설당은 신라시대 눌지왕 시절의 충신인 대아찬 박제상(朴堤上)[363~419]이다. 조선시대 유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李珥)[1536~1584]가 1566년에 신라시대 충신으로 이름난 박세상의 충렬을 기리며 쓴 서(序) 형식의 문학작품이다.

[창작경위]

이 글은 박제상의 후예들이 그의 행적과 충렬의 실제 일들을 기록한 책을 간행하게 되어 이이에게 서(序)를 요청하였는데, 이에 응하여 이이가 쓴 글이다.

[구성]

한문 문체의 하나인 ‘서(序)’의 형식으로서 박제상의 행적에 관련된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였고, 의미와 가치에 대한 평가를 성리학적 규범에 입각하여 정리하고 있다.

[내용]

신라 눌지왕 때 충신인 박제상이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가 있던 눌지왕이 동생 복호(卜好)를 지략으로 구해 돌아온 일과 일본에 가서 행한 용감한 일들을 전한시대 충신이며 장수인 소무(蘇武)에 비유하는 내용을 적고 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는데, 처음 부분에는 중국의 옛 성인들의 고사를 들어 인류사회의 규범을 논하였다. 즉 하늘이 처음 백성을 내실 때 각 개체마다 합당한 법칙과 규범을 갖게 되었다. 예컨대 아버지와 자식이 있으면 여기에는 친애함이라는 규범이 있게 된다. 그리고 임금과 신하가 있으면 여기에는 지켜야할 의리가 있다. 각 사물과 개별자들 사이에는 서로 다른 모양과 상황이 있는데, 이것이 우주자연의 이치이다. 그 모든 개별자들은 각각의 입장에 맞는 규범을 하늘로 부터 받게 되며, 사람들은 자기에게 맞는 직분을 부여받는다. 요임금 순임금 탕임금 무왕이 만세에 걸쳐 인류의 스승이 되는 모범을 세웠고, 고요와 이윤 등은 신하의 모범이 되었고, 공자는 『춘추』를 지어 난신적자(亂臣賊子)를 두렵게 하였다. 백이와 숙제는 은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해 수양산에서 굶어 죽음으로써 나태한 자들에게 뜻을 세우게 하였다.

둘째 부분에는 박제상의 충렬 사적과 의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즉 충렬공 박제상 선생은 예부터 이어온 덕을 숭상하고 왕도를 추앙하며, 당시의 폐해를 억누르고 형벌과 포상을 논하여 시행하였으니, 그의 신하된 도리는 가히 임금을 바르게 모실만하였다. 그리고 예로부터 이어온 정전(井田)의 제도를 회복하고 잃어버린 예(禮)를 바로잡았으니 그 학문은 가히 세상을 경륜할 만하였다. 실로 한 마디 말로써 고구려 임금의 마음을 돌려서 볼모로 잡혀간 임금(신라 눌지왕)의 공자(公子)[눌지왕의 동생]를 돌아오게 하였다. 그러니 박제상 선생의 재질은 사방의 국가에 사절로 보내 일을 맡기면 홀로 일을 처리함이 마치 중국의 한(漢) 무제(武帝) 시절 중랑장으로서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19년 만에 돌아온 소무(蘇武)보다 뛰어나니, 그 절개는 가히 먼 나라에서 살신성인(殺身成仁)할 만 하였다. 공의 뛰어남은 한 가지가 아니니, 왜국의 사신으로 가서 몸을 찢기는 고난을 당하면서도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에 보답하는 마음이 굳건하여 의연히 순절하였다. 이는 후세의 사람들이 본받을 모범으로 이보다 더 큰 것이 없었다.

셋째 부분은 박제상의 충렬이 만세의 귀감이 되는 것의 의미와 공의 후손이 그의 실제 행적에 대한 기록을 간행하게 되어 차제에 이이 선생 자신에게 글을 요청하므로 이 글을 쓰게 된 경위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징]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의 행적을 소개하고, 그 것을 성리학적 세계관에 입각해 의미와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당시의 조선시대와 이후의 세대들에게 삶의 표본이 되는 모범으로서 만세에 전할 만 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06 2011 한자 최종 검토 박제상(朴堤上)[363-419] ->박제상(朴堤上)[363~41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