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877
한자 無等山保護團體協議會
영어공식명칭 Mudeungsan Conservation Counci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 104[누문동 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89년 5월 22일연표보기 -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창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9월 -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사단법인 승인
최초 설립지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 광주직할시 북구 누문동 7-1
현 소재지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 104[누문동 7-1]지도보기
성격 시민사회단체
전화 062-528-1187
홈페이지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http://mudeungsan.org)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누문동에 있는 환경 운동 관련 시민 단체 연합.

[개설]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는 광주·전남의 상징인 무등산의 공익적 가치를 영구히 보존하고, 범시민 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결성한 무등산 보호 관련 단체의 협의회이다.

[설립 목적]

무등산을 보존함으로써 환경을 가꾸어 삶의 질을 높이며, 미래 세대에게 보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과 정신문화를 물려주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변천]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1989년 5월, 11개 단체들이 가입하면서 창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는 환경운동과 학술 교육 활동, 시민운동, 보존 운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무등산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무등산의 통신·방송 시설를 정비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광주광역시 제1수원지·제2수원지를 근대사 문화유적으로 지정하고, 무등산을 생물권 보존 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하여 다양한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구성]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의 부속 기구로는 무등산사랑환경대학, 무등산사랑청소년환경학교, 무등산사랑환경봉사단이 있다. 무등산사랑환경대학은 1994년 광주MBC와 공동으로 준비하여 개설하였으며, 무등산사랑청소년환경학교는 청소년들에게 자연자원과 역사·문화유산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개설하였다. 그리고 무등산사랑환경봉사단는 청소년들이 실천을 통해 자연보호와 자원봉사의 가치를 느끼도록 하기 위해 1994년 9월 29일 창단되었다.

[현황]

무등산 보존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에 가입한 단체들이 많이 늘어났으며, 2021년 기준 총 76개 단체가 등록되어 있다. 무등산사랑환경봉사단은 매주 일요일, 광주광역시 제1수원지를 중심으로 산불 예방 및 정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참고문헌]
  •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http://mudeungsan.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