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177
한자 韓國電子技術硏究院光州地域本部
영어공식명칭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이칭/별칭 KETI,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광주지역본부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26[오룡동 1110-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5년 4월연표보기 -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광주지역본부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20년 7월 28일연표보기 -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광주지역본부에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로 개칭
최초 설립지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광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26[오룡동 1110-11]
현 소재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26[오룡동 1110-11]지도보기
성격 연구기관
전화 062-975-7000
홈페이지 https://www.keti.re.kr/main/main.php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있는 전자산업 관련 연구 기관.

[개설]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 42조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에 관한 사항에 따라 설립된 국책 연구소이다.

[설립 목적]

전자, IT산업분야의 선도기술 개발 및 중소, 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사업화 견인을 통해 전자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성장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2005년 4월 1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광주지역본부로 설립되었다. 2020년 7월 28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는 빛고을 광주의 밝은 미래를 이끄는 선도기관으로 2005년 4월 출범하였다. 이후 기업지원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특히 스마트가전, 에너지, 전장 분야에서 핵심기술 개발 및 우수인재 양성, 기업지원 사업 등을 통해 중소, 벤처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지원한다. 향후 인공지능, 3D 기술과 같은 최첨단 ICT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도시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지역 역점사업인 공기산업 육성의 전초기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현황]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는 4개의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첫째, 에너지변환연구센터는 LVDC 표준화 및 핵심기기 설계, 제어 기술, 직류송배전 진단 및 마이크로그리드 제어, 분산전원(재생에너지, ESS)용 전력변환기술, AI, BigData, IoT 기술기반 미래 전력거래를 연구하고 있다.

둘째, IT융합부품연구센터는 고속 다채널 LiDAR, 고분자 기반 휴대용 분광 기술, 레이저 기반 무선전력전송, 영상센서 기반 3D AR 기술, 3D 융합 휴먼컴퓨팅을 연구하고 있다.

셋째, 스마트전장연구센터는 모빌리티시스템, xEV, 자동차 전장/전력제어기술 ,전기/수소 충전인프라 및 수소에너지응용기술, 모터, 엑츄에이터, 전기구동시스템 상용화기술 ,전자기센서, 전기기기 설계, EMC 해석 기술, IoT/AI 모빌리티 분산제어 & 운영시스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넷째, 스마트가전혁신지원센터는 ,IoMT 활용 라이프 트래킹 기술,비접촉 생체신호 측정기술,공기정화 기술(필터/전기집진),에어가전(필터/센서/공청기/전열교환기) 인증시험,스마트가전 기술고도화 및 사업화지원,스마트가전 개발/신뢰성 평가 장비지원,KOLAS(3.013 에너지효율, 3.014 환경신뢰성) 시험지원,스마트가전/에어가전 미취업자·재직자 맞춤형 교육 (ketismps.re.kr)사업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https://www.keti.re.kr/rnd/rnd04_01.php)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