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92
한자 光州科學技術院
영어공식명칭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칭/별칭 광주과기원,지스트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오룡동 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93년 11월 17일 - 광주과학기술원 설립 인가
인가 시기/일시 2008년 6월 13일 - 광주과학기술원 학사과정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95년 3월 9일연표보기 - 광주과학기술원 개교
개교 시기/일시 2010년 3월 2일연표보기 - 광주과학기술원 GIST대학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2월 10일 - 광주과학기술원 삼성전자 주최 제27회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금상, 동상, 장려상 등 총 4개팀의 수상자 배출
최초 설립지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오룡동 1]
현 소재지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오룡동 1]지도보기
성격 국립대학교
설립자 국가
전화 062-715-2114
홈페이지 광주과학기술원(https://www.gist.ac.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국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광주과학기술원 교육 목표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우수 인재 양성과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이다.

[변천]

1991년 10월 광주과학기술원 설립추진위원회와 1992년 3월 설립추진단을 조직하여 1993년 11월 17일 대통령령에 따른 광주과학기술원 법인이 설립되었고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1995년 3월 9일 개원하여 첫 입학생[석사과정 113명]을 맞이하였다. 1997년 2월 27일 제1회 학위수여식에서 92명의 석사를 배출하였고, 1997년 3월 4일 박사과정의 첫 입학식을 치렀다. 2000년 5월 17일 유엔대학과 학술교류를 체약하고, 2000년 12월 14일 창업기술지원센터를 개소하였으며, 2001년 5월 9일에 고등광기술연구소가 개소되었다. 2004년 3월 26일 광주과학기술원 영문명을 K-JIST에서 GIST로 변경하였으며, 2008년 6월 13일 학사과정을 인가받고 2년 후인 2010년 3월 2일 100명의 신입생이 학사과정에 입학하였다. 2015년 10월 29일 융합기술원이 설립되었고,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에서 11년 연속 국내대학 1위를 기록하였다. 2019년 3월 6일 제8대 김기선 총장이 취임하였다. 2021년 2월 19일 2020학년도 학위수여식을 통해 학사 820명, 석사 4,462명, 박사 1,531명 등 총 6,81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광주과학기술원은 학내 재학생들의 교육역량을 심화할 수 있는 SW교육센터에 최신 서버실을 갖추고 SW/AI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온라인 학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공헌 사업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오세영/작곡 최영섭]는 다음과 같다.

[1절]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라/ 찬란히 떠오르는 무등의 태양/ 아아 우리는 그 빛을 따라/ 진리의 새 길을 열고 닦는다

[2절] 눈을 들어 대지를 굽어보아라/ 용용히 굽이치는 영산의 물결/ 아아 우리는 그 강을 따라/ 과학의 옥토를 갈고 이룬다

[후렴] 크게 크게 보고 널리 널리 뛰는 준재들 모여/ 세계를 선도하는 광주과학기술원

2. 상징물로 4개의 직사각형 기둥이 있다. 각각의 기둥은 세계화[Global], 혁신적[Innovative] 사고, 과학적[Scientific] 연구, 과학기술[Technological]의 선도를 의미한다. 기둥에 새긴 GIST 글자의 계단식 배열은 세계로의 점진적 도약과 젊음의 생동감을 의미한다.

[현황]

광주과학기술원은 보유 면적 631,041㎡에 8개 학과[물리, 화학, 생명과학, 전기전자컴퓨터, 기계공학, 신소재, 지구·환경, 기초교육], 대학원 7개 학부[전기전자컴퓨터, 신소재, 기계, 지구·환경, 생명과학, 물리·화학, 융합기술], AI대학원[학과]을 보유하고 있으며, 혁신기업가교육센터를 별도로 두고 있다. 기술경영아카데미와 기후환경아카데미를 개설하여 학계와 전문가에게 특화된 강의 콘텐츠를 구축한다. 2017년부터 3년 연속 이공계 대학평가에서 학생 창업지원·창업비율 부문, 대학창업지수 및 창업인프라 부문, 창업지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기록하였고, 과학기술원 내에 세운 창업기업 89개사[교원 31개사, 연구원 14개사, 학생 44개사]에서 매출 1,503억 원을 달성하였다. 무엇보다 그 절반을 차지하는 617억 원이 학생 창업기업의 성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하다. 2019년 한국연구재단 대학 산학협력 활동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GIST 1인당 기술료 수입은 국내 대학 평균을 3.6배 웃도는 수준이며, 2013년 인지바이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3개의 연구소기업이 운영 중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2020년 QS 세계대학평가가 조사한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에서 미국의 프린스턴대학에 이어 세계 4위[7년 연속]를 기록하였고, 2020년 RankPro 세계대학평가에서는 100위[국내 대학 3위]를 달성한 바 있다. GIST는 2021년 기준 27년의 역사와 성과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는 홍보관과 명예의 전당을 별도로 마련하여 운영 중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2021년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취업률은 30%이고,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6.49명이다. 재학생은 994명[남 781명, 여 213명]이며, 전임 교원은 292명[남 247명, 여 292명]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광주과학기술원(https://www.gist.ac.kr)
  • 대학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 통계청(http://kostat.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