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동 어운마을 당산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332
한자 雲亭洞魚雲-堂山祭
이칭/별칭 운정동 어운마을 동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50년 6.25전쟁 무렵 - 운정동 어운마을 당산제 중단
의례 장소 할아버지당산 -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어운마을 동쪽 언덕지도보기
의례 장소 할머니당산 -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어운마을 동쪽 언덕지도보기
성격 마을 공동 제사
의례 시기/일시 정월 열나흗날 밤 12시 무렵
신당/신체 할아버지당산[느티나무]|할머니당산[느티나무]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어운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주민들의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 정월 열나흗날 밤에 모셨던 마을 공동 제사.

[개설]

운정동 어운마을 당산제는 할아버지당산과 할머니당산에서 어운마을 사람들이 지냈던 공동 제의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모셨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중단되었다가 잠시 복원되었으나, 6.25전쟁 무렵에 완전 중단되었다.

[연원 및 변천]

맹골 또는 맹동이라고도 불렸던 어운마을국립5.18민주묘지 입구에 있다. 어운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다만 조선 정조 때 의성김씨(義城金氏)가 경상북도 의성에서 건너와 자리를 잡고 마을이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므로, 그 전후로 시작되지 않았을까 추정할 수 있다. 당산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중단되었다가 해방 이후 몇 년간 다시 지속되었으나, 6.25전쟁 무렵에 완전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신당/신체의 형태]

어운마을의 당산은 느티나무로 할아버지당산과 할머니당산으로 불렸다. 본래는 네 그루의 당산이 있어 할아버지당산과 할머니당산이 각각 두 그루로 여겨졌으나, 1990년대 조사에 의하면 마을 동쪽 언덕에 두 그루만 남아 있고 신격 구분이 불분명한 상태였다. 현재도 두 그루의 당산이 마을 유산각[동네 공동 쉼터나 정자]과 함께 남아 있다.

[절차]

운정동 어운마을 당산제는 매년 정월 초에 자녀가 없는 사람을 골라 유사로 선발하였다. 이는 당산제의 청결을 유지하려는 마을 공동체의 목적과 당산제에 정성을 들여 자식을 얻으려는 개인 목적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제의(祭儀) 3일 전인 정월 11일에 당산 주변과 유사의 집에 금줄을 치고 금토를 놓았다. 마을 각 집마다 제비(祭費)를 갹출하여 시루떡, 명태, 감, 대추, 밤 등 간단한 제물(祭物)을 장만하였다. 이때 아이가 태어나거나 초상이 있는 집은 갹출에서 제외하였다. 제기(祭器)는 매년 새로 구입하는데 사용 후에는 유사가 가졌다. 제물 준비에 사용되는 물은 담양 고서면의 샘에서 떠다 사용하였는데, 샘을 청소하고 사흘 후에 물을 떠다 사용하였다. 샘물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대나무를 엮어서 샘을 덮었다.

정월 열나흗날 밤 12시 무렵이 되면 유사 부부만 당에 올라가 제를 모셨는데, 부정한 사람이 제 모시는 것을 보면 부정탄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헌식은 명태를 그대로 백지에 싸서 놓고, 감, 대추, 사과, 밤 등을 주변에 던진다. 간단하게 헌식을 한 후 제를 마쳤다. 당산제는 해방 전후 궁핍하던 시절이라 매우 간략하게 하였다.

[부대 행사]

당산제가 끝나면 온 마을을 돌며 걸궁(乞窮)[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마을 집집을 돌아다니며 악기를 연주하거나 축원의 노래를 불러주는 일]을 쳤다. 걸궁을 시작할 때는 반드시 당산에 보고를 하였으며, 끝낼 때도 걸궁을 끝내겠다는 보고를 하고 끝을 냈다.

[현황]

운정동 어운마을 당산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중단되었다가 8.15해방 이후 몇 년간 다시 지속되었으나, 6.25전쟁 무렵에 완전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