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과 말바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267
한자 無等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8년 1월 30일 - 「무등산과 말바우」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주민 박귀례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8년 - 「무등산과 말바우」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에 수록
관련 지명 말바우시장 -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 지도보기
채록지 생룡마을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유래담|바위전설
모티프 유형 바위 이름의 유래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서 전해 오는 말바우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

[개설]

무등산에서 말을 타고 뛰어내린 바위에 말 발자국이 찍혀 말바우라고 부른다는 이야기로, 바위 이름의 유래에 관한 전설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8년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 거주하는 제보자 박귀례에게 채록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하였다.

[내용]

무등산에서 말을 타고 바위로 뛰어내렸는데, 말 발자국이 찍혀 ‘말바우’라고 한다. 누가 탄 말인지는 잘 모른다. 제보자는 말을 탄 사람이 누구인지 모른다고 했으나, 말바우를 이야기하는 다른 설화에서는 김덕령 장군이라고 한다.

[모티프 분석]

「무등산과 말바우」의 주요 모티프는 ‘용마’이다. 용마는 잘 달리는 말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로 설화에서는 영웅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아기장수 설화」에서는 아기장수가 죽자 바위를 뚫고 나온 용마가 슬피 울다가 죽은 것으로 영웅의 실패를 형상화한다. 용마가 나온 바위를 용마바위, 용마굴 등 용마와 관련한 지명과 전설이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말바우 전설」 역시 이 용마와 관련된 지명전설로, 말바우 시장 일대를 ‘말바우’라고 부른 유래에 관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