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68
한자 無等競技場
영어공식명칭 Mudeung Stadium
이칭/별칭 광주무등경기장,무등종합경기장,무등야구장,무등축구장
분야 문화·교육/체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서림로 10[임동 3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병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65년 - 광주종합경기장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65년 9월연표보기 - 광주종합경기장 개장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4년 3월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개장
개칭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광주종합경기장에서 무등경기장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제58회 전국체육대회를 위해 광주종합경기장 증축 및 리모델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무등경기장 정문 5.18사적지 제18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무등경기장 주경기장 자리에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2년 - 무등경기장 주변에 아마추어 야구장 및 체육공원 조성 예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광주종합경기장 제46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무등경기장 제58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2년 - 무등경기장 야구장 해태타이거즈 홈구장으로 사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4년 5월 4일 - 무등경기장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미사 집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무등경기장 제68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무등경기장 양궁장, 테니스장, 승마장 등 일부 시설 염주종합체육관으로 이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8년 - 무등경기장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축구 예선 경기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무등경기장 제74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무등경기장 수영장 철거
최초 설립지 광주종합경기장 - 광주광역시 북구 서림로10[임동 316]
현 소재지 무등경기장 - 광주광역시 북구 서림로10[임동 316]지도보기
성격 체육시설
면적 주경기장- 10,707㎡[건평]|26,826㎡[필드 면적]|10,037㎡[스탠드 면적]|무등야구장- 4,062㎡[건평]|10,940㎡[필드 면적]|실내수영장- 3,960㎡[건평]|4,350㎡[필드 면적]|다목적체육관- 360㎡×6실[훈련장]|530㎡×8실[합숙소]
전화 062-604-1400 [광주광역시체육회]
홈페이지 http://www.gwangjusports.org[광주광역시체육회]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개설]

무등경기장은 1965년 건립 이후부터 광주를 대표해 온 종합 체육시설이다. 전국체육대회 주경기장은 물론 프로야구 경기장, 실내수영장, 실내체육관 등으로 지역민에게 개방되어 왔다. 또한 무등경기장 정문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집결 장소로 활용되어 5.18사적지 제18호로 지정되어 있다. 1984년에는 5.18민주화운동의 아픔을 겪은 광주 시민을 위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때 미사가 집전된 곳이기도 하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광주 방문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건립 경위]

1951년 제32회 전국체육대회 이후 광주 지역에서는 종합경기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1954년 전남방직의 소유지 일부인 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일대에 토담으로 담을 쌓아 임시로 공설운동장을 만들었다. 그 뒤 1965년 제46회 전국체육대회를 위해 공사비 약 13억 5000만 원을 들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개축하여 광주종합경기장을 건립하였다.

[변천]

1965년 광주종합경기장 건립으로 제46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976년 11월에 600여만 원의 예산을 들여 주경기장을 증축하고 전광판 시설을 새로 만들었다. 이후 1977년 제58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1982년부터 야구장이 해태타이거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주경기장은 축구 경기 및 종합대회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87년 염주종합체육관이 건립되면서 양궁장, 테니스장, 승마장 등 일부 체육시설을 이전하였다. 1987년 제68회 전국체육대회가 열렸으며,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축구 예선 경기도 치렀다. 1993년에는 제74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주경기장 시설이 낡고 오래되면서 2002년 광주월드컵경기장이 건립된 뒤로는 전국 규모의 행사보다 지역 행사용으로 사용되었다. 2008년에는 가장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실내수영장도 철거하였다. 이후 무등경기장기아타이거즈의 홈구장인 야구장으로만 사용되다가, 2011년 새로운 홈구장이 확정되면서 주경기장의 성화대를 제외한 시설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를 건립하였다. 2022년까지 무등경기장 주변을 아마추어 야구장과 체육공원 등으로 조성하는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구성]

무등경기장은 종합경기장으로 건립된 당시에 7개의 경기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경기장, 야구장, 실내수영장, 양궁장, 테니스장, 승마장, 실내체육관 등이다. 주경기장은 종합 육상 트랙을 갖추었으며 축구장과 함께 사용하였다. 건평 1만 707㎡이며, 필드 면적은 2만 6,826㎡이다. 스탠드 면적은 1만 37㎡, 수용 인원은 3만 9000명이다. 야구장은 건평 4,062㎡이며, 필드 면적은 1만 940㎡이다. 야구장의 수용 인원은 1만 3000명이다. 실내수영장은 건평 3,960㎡, 필드 면적은 4,350㎡이다. 50미터 레인 8개에 수용 인원은 500명이다. 실내체육관의 씨름장은 수용 인원이 500명이다. 그리고 다목적체육관은 훈련장 6실, 합숙소 8실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현재 무등경기장의 시설 중 야구장만 남아 있다. 무등경기장 야구장은 광주광역시에서 위탁받아 광주광역시체육회 소속 시민체육부와 시설관리부에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