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427
한자 申汝樑唐浦前洋勝捷之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43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04년연표보기 - 「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 제작
현 소장처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430번지]지도보기
성격 지도
서체/기법 전서체|수묵화
소유자 국립광주박물관
관리자 국립광주박물관

[정의]

광주광역시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된 조선시대 무장 신여량이 참전한 당포해전 승첩을 기념한 기록화.

[개설]

1604년 당포해전에 참가한 28명의 인물에게 이를 기념하는 「당포전양승첩지도」를 분급(分給)하였다. 현재는 신여량(申汝樑)[1564~1606]의 「당포전양승첩지도」 외에 진주박물관에 기탁된 함평노씨 노홍의 「당포앞바다승첩지도」가 남아 있으며, 「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관리하고 있다.

[형태 및 구성]

「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는 비단 위에 묵으로 그린 후 옅은 채색을 한 족자 형태로, 크기는 세로 120.5㎝, 가로 68㎝이다. 맨 윗부분에 그림의 제목인 ‘당포전양승첩지도(唐浦前洋勝捷之圖)’를 전서체로 쓰고, 그 아래에 해전의 모습을 그렸으며, 맨 아래 좌목에는 당포해전에 참여하였던 28명의 이름과 관직명, 자, 생년, 본관, 거주지를 적어 넣었다. 좌목의 28인은 다음과 같다. 삼도수군통제사 이경준, 경상우수군 우후 신여량, 미조항첨사 이섬, 평산포만호 맹우증, 당포만호 이희참, 영등포만호 두기문, 사량만호 정흔, 가배량권관 김일개, 소비포권관 박옹, 율포권관 김대관, 사도진첨사 우수, 여도만호 노인, 임치진첨사 송덕일, 다경포만호 신탁, 무장별장 이기남, 어란포만호 임영립, 목포만호 윤기, 남도포만호 노홍, 회령포만호 이희춘, 이진권관 이자징, 금갑도가장 이광춘, 충청수군우후 송안정, 서천포만호 조흡, 안흥량만호 이명길, 당진포만호 노의남, 파지도권관 박제, 한산대장 윤흥룡, 홍주대장 손응로이다.

[특징]

「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는 전투의 한 장면을 사실적으로 그린 것으로, 조선시대의 계회도(契會圖)의 형식으로 그린 기록화라는 특징이 있다. 화면의 중앙 왼쪽에는 색을 달리하여 흰색으로 선체를 표현한 적선과 5척의 조선 수군 전선이 한창 전투 중인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붉은 전복(戰服)을 입은 군사들이 멀리서 활을 쏘고 있고, 적선 위에서는 칼을 휘두르며 선상전(船上戰)을 벌이고 있어 한창 전투 중인 긴장감이 화면에 그대로 배어 있는 듯하다. 화면 중앙의 오른쪽 부분에는 대장선이 있고, 대장선의 돛대 맨 꼭대기에는 황색 깃발이 꽂혀 있다.

[의의와 평가]

「신여량당포전양승첩지도」는 1604년 당시의 전선의 모습과 수군의 복식, 깃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며, 28명의 좌목에 기록된 장수들의 행적을 고증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