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000
한자 國家人權委員會光州人權事務所
영어공식명칭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Gwangju
이칭/별칭 국가인권위 광주인권사무소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154-1[금남로5가 5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정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5년 10월 12일연표보기 -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개소
이전 시기/일시 2014년 7월 26일 -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225[대인동 7-12]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154-1[금남로5가 57]로 이전
최초 설립지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225[대인동 7-12]지도보기
현 소재지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154-1[금남로5가 57]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062-710-9716
홈페이지 https://www.humanrights.go.kr/site/submain/index001002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5가에 있는 국가인권위원회 소속 지부.

[개설]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는 인권 침해 및 차별로부터 지역 주민을 보호, 구제하고 다양한 인권 교육과 교류 협력을 실시하는 종합적인 인권 전담 기구이자 준사법 기구이다.

[설립 목적]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는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모든 개인의 기본적인 인권 보호와 향상, 민주적 기본질서 확립,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2001년 5월 24일 「국가인권위원회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같은 해 11월 25일 국가인권위원회가 출범하였다. 2005년 5월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주요 도시에 국가인권위원회 지역 사무소를 설치하는 문제가 논의되었고, 그해 10월 12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동구 대인동에 설립되었다. 2014년 7월 26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동구 금남로5가로 이전하였다. 2015년 10월 12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개소 10주년 행사를 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간다운 삶의 보장과 사회권 강화, 이주 난민의 인권 보호, 정보 인권 보호, 인권 친화적 병영 문화 정착, 혐오 표현 확산에 대한 적극적 대응 등 인권 증진 행동 계획을 기본적으로 실시하며, 지역 주민의 인권 감수성 향상 및 인권 친화적 지역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인권 교육과 교류 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권 상담 및 진정 접수, 구금 및 보호 시설 등의 관리, 인권 침해 및 차별 행위에 대한 조사 및 구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인권정책라운드테이블, 북토크 행사, 문화 행사, 영화 상영 등 인권과 관련한 다양한 워크숍이나 행사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인권의 사각지대를 찾아내고자 광주인권사무소 아동인권지킴이단, 블로그 인권기자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노인 인권 강사 양성 등을 통해 인권에 대한 연구 모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현황]

2021년 기준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에는 사무소 업무를 총괄하는 사무소장 1명과 교육 협력을 총괄하는 교육협력팀장 1명, 차별·진정 사건 조사를 담당하는 조사팀장 1명, 교육 협력·홍보 및 서무 회계 등을 담당하는 조사관 1명, 진정 사건을 조사하고 지역인권 문화 확산 및 인권 교육, 상담, 광주인권체험관 운영 업무 등을 담당하는 일반 직원 6명이 근무하고 있다. 관할 구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이며, 인권과 관련한 공개 토론회 및 학술 세미나를 진행할 수 있는 광주인권교육센터와 지역민의 인권 감수성과 의식 향상을 위해 운영 중인 인권테마역사, 인권 관련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하여 일반인에게 제공하는 인권도서관 등의 부설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는 누구나 존중받는 인권 사회 실현과 인권 친화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뿐 아니라 관할 구역인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인권 중심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앞장서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