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49
한자 光州地下鐵一號線
영어공식명칭 Gwangju Metro Line 1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04년 4월 28일연표보기 - 광주도시철도1호선 1단계 녹동~상무 구간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8년 4월 11일연표보기 - 광주도시철도1호선 2단계 상무~평동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8월 30일 - 광주도시철도1호선 전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
전구간 광주도시철도1호선 - 광주광역시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광주도시철도1호선 - 광주광역시
성격 지하철
길이 20.6㎞
차선 복선[녹동역을 제외한 전 구간]
1,435㎜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에 있는 녹동역에서 광산구 평동에 있는 평동역을 연결하는 도시철도.

[개설]

광주도시철도1호선은 광주광역시 내부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체계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이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세 번째로 건설된 지하철이다. 광주도시철도는 최초 제5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광주도시철도1호선을 제외한 계획들은 폐기되었다. 2000년 이후 다시 논의되었고, 논란 끝에 2021년 현재 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을 진행 중이다. 현재는 2004년 4월 개통된 광주도시철도1호선만 운행 중인데, 이 노선은 광주광역시 동구 녹동역을 기점으로 금남로 등 도시 중심부를 동서 방향으로 관통하여 광산구 평동역까지 연결된다. 광주도시철도1호선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건립 경위]

광주도시철도1호선은 1990년대 들어와서 광주광역시에서 도시철도 건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 약간의 논란을 거친 끝에 계획이 수립되었다. 1994년에 5개 노선을 계획하여 1996년 8월 28일에 광주도시철도1호선을 기공했지만, 중간에 IMF 구제금융 사태의 여파와 도시철도가 건설되는 과정에 상무지구 개발, 전남도청의 이전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현재 운행 중인 광주도시철도1호선은 구도심과 광산구 일부의 도시 외곽을 관통하고 있는데, 과거 광주광역시의 도시 축을 따른 것으로 도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문제를 가진 노선이 되었다. 이 때문에 이용자 수도 도시철도 노선을 가진 전국 도시 중에서 가장 적다. 1994년 1월 1일 광주지하철 건설본부를 설립하였고, 1994년 11월 광주도시철도1호선 기본계획을 확정하였다. 1999년 11월 2일에는 2단계 건설사업 계획을 승인하였다. 1996년 2월 17일 1단계 녹동~상무 구간을 착공하였고, 2000년 4월 6일 2단계 상무~평동 구간을 착공하였다. 2004년 4월 28일 1단계 녹동~상무 구간을 개통하였고, 2008년 4월 11일 2단계 상무~평동 구간을 개통하였다. 2016년 8월 30일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 한편 광주도시철도1호선의 복합적인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2016년 광주도시철도2호선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는데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저심도 경전철 방식으로 건설형식을 바꾸었다. 그러자 지역사회의 논란이 계속 있었고, 논란을 타계하려고 시민들을 중심으로 공론화를 시도하여 결국 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을 확정짓게 되었다. 2021년 현재 광주도시철도2호선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변천]

1991년 광주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타당성 조사를 바탕으로 1994년 11월 광주지하철 1~2호선 건설 및 운영에 대한 기본 계획을 확정하였다. 1996년 2월 지하철 기획단이 지하철 건설본부로 개편되고, 1996년 8월에 광주도시철도1호선 건설사업이 착공되었다. 녹동~상무를 잇는 제1호선 1단계 구간[14개 역, 총 연장 11.96㎞]은 2002년 7월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IMF 구제금융 사태의 여파로 연기되어 2004년 4월 28일 개통되었다. 상무~평동을 잇는 2단계 구간[6개 역 총 연장 8.14㎞]은 1999년 11월 사업계획을 승인받고, 2000년 4월 착공하여 2008년 4월 11일에 개통하였다.

[현황]

광주도시철도1호선은 광주광역시 동구 녹동에서 광산구 평동까지 1호선 전 구간 운행거리는 20.5㎞이며, 20개 역을 거친다. 소태역~평동역까진 33분, 녹동역~소태역까지는 38분이 소요된다. 표정속도는 34.3㎞이고, 운행 간격은 출퇴근시 7~10분, 평시에는 10분이 걸린다. 운행횟수는 평일 240회, 토요일 206회, 휴일 202회로 운행되며, 보유 차량은 92량, 23편성이다.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노선은 녹동역에서 출발하여 소태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역[구 전남도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호남대입구], 상무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공항역, 송정공원역, 광주송정역, 도산역을 거쳐 평동역까지 연결된다. 기본운임은 연도별로 2004년 700원을 시작으로 2007년까지 매년 100원씩 증가하여 2010년 1,000원이 되었고, 2011~2015년 1,200원, 2017년부터 2020년까지 1,400원이었다. 수송인원은 2004년 하루 평균 3만 573명으로 755만1431명이 이용하였고, 매년 증가하여 2019년 1931만 9090명이었다. 2015년부터는 매일 약 5만 명이 이용하고 있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이용객이 급감하여 1358만 2875명이 이용하였다. 이용객 수에 따른 수송수입도 변화하였는데, 2004년 38억 원에서 계속 증가하여 2019년 약 130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무임수송율도 증가했는데, 2004년 첫 운행 당시 21.94%에서 2006년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후, 2017년부터는 약 33%대를 유지하고 있고 현재 33.91%로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살펴보면, 엘리베이터는 총 61대가 운영되며 역별로 2~5대 설치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총 99대로 역별로 2~10대가 있고, 쌍촌역운천역만 없다. 휠체어리프트는 양동시장역에만 1대 설치되어 있다. 장애인 화장실은 46개소로 역별로 2~4개소 운영되며, 자동차 휠체어 안전벨트는 23편성 92량으로 1량 1개소로 편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차 내 교통약자 배려석은 1편성당 48석으로 28.5%를 차지한다. 시각장애인 안내 촉지도는 20개 역 22개소 운영 중이고, 음성유도기도 20개 역 481대로 역별로 18~35대가 있다. 테마역도 운영 중이다. 문화전당역은 5.18기념 홍보관을 운영 중이고, 금남로5가역은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전시관, 오월길 인권테마역사, 추억의 영화거리, 추억의 중앙동 역사보기 등을 두고 있다. 김대중컨벤션센터역은 세계인권전시관, 평동역은 다문화존을 두고 있다. 학동·증심사입구역무등산국립공원 테마관이 있고, 남광주역은 지하철과 함께 하는 추억여행 전시관, 농성역은 호남학 전시관, 트릭아트존이 있다. 송정공원역은 광주지하철 문화관이 있고, 광주송정역은 국창 임방울 국악전시관이 있어 이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참고문헌]
  • 광주도시철도공사(www.gwangjusubway.co.kr)
  • 광주광역시청(www.gwang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