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29
한자 光州空港
영어공식명칭 Gwangju Airport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420-25[신촌동 698-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48년 11월연표보기 - 광주비행장 교통부가 치평리[현재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개설
이전 시기/일시 1964년 1월연표보기 - 광주비행장에서 광주공항으로 바뀌면서 신촌리[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6년 - 광주공항 제1전투비행단이 이전하면서 군공항과 민간공항이 함께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6월 - 광주공항 한국공항공사가 인수하여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1월 - 광주공항 신 여객청사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6월 24일 - 광주공항 국제공항으로 정식 승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월 -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 중단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0월 - 광주공항 상하이 직항로 생기며 국제선 다시 운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으로 국제공항 업무 이관
최초 설립지 광주공항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지도보기
현 소재지 광주공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420-25[신촌동 698-9]지도보기
성격 교통시설
전화 062-940-0319
홈페이지 http://www.airport.co.kr/gwangju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에 있는 공항.

[개설]

광주공항은 일제강점기 1929년 광주군 극락면 치평리[현재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임시 활주로를 개설한 것이 그 시초이다. 광복 후인 1964년 1월 광산군 송정읍 신촌리[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로 옮겼고, 1966년 제1전투비행단이 이전하면서 군공항과 민간공항이 함께 운영 중이다. 1995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지만, 2008년 무안국제공항으로 국제공항 업무가 이관되어 오늘에 이른다.

[건립 경위]

현재 광주공항은 크게 3가지 시기를 가진다. 첫 시기는 광주공항으로, 1964년 1월에 '광산군 송정읍 신촌리[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로 공항을 옮겼다. 개항 후에는 김포, 부산, 강릉 노선을 운항하였다. 1966년 제1전투비행단이 이전하여 군공항을 함께 운용하게 되었고, 1994년 11월에 현재의 신 여객청사를 개관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광주국제공항이다. 1995년 6월 24일 국제공항으로 정식 승격하여 방콕, 오사카 노선이 개설되었다. 12월에는 구 청사를 개량하여 화물 터미널로 새롭게 단장하였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여파를 피해갈 수 없었고, 1998년 1월에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었다. 2001년 10월에 상하이 직항로가 생기며 국제선을 다시 운행하기시작하였으나, 다음 해에 김해 노선은 단항하고 말았다. 하지만 이후 중국 노선을 중심으로 한 정기편과 여러 전세편을 띄우며 발전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2008년 5월 무안국제공항으로 국제공항 업무가 이관되어 다시 광주공항으로 전환되었다.

[변천]

광주공항 역사는 지금의 상무지구가 자리한 치평동에서 시작한다. 당시 치평리 일대는 사방이 평탄한 지형으로 항공기 이착륙이 용이하여 1920년대 말엽부터 치평동에 비행장이 개설되었는데 필요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운영되는 간이 비행장 구실을 하였다. 1920년대 한반도에는 일본 육군의 항공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일설에 의하면, 이 부대는 평양 능라도에 제6항공연대가 있었는데, 비상 시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하여 전국 각지에 임시 활주로를 물색하였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 후보지 중 하나로 광주 계림동경양방죽이 거론되기도 하였지만, 최종적으로 임시 활주로 개설이 이루어진 곳은 치평동 일대였다. 1929년 일본 육군은 치평동 일대를 임시 활주로로 선정하는 동시에 20여 대의 항공기를 상주시킬 계획이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확인되지 않고,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를 본격적인 민간비행장으로 개발하였다. 이 상무대 비행장은 1937년 확장 공사를 시작하여 1939년 11월에 정식 비행장으로 개장하였다. 그 이전인 1938년 5월 총독부 체신국이 비행장 활주로를 수리하여 항공우편 이착륙장으로 시용하기 시작하면서 더러 여객을 실어 나르게 되었다. 그러나 객석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운임도 비싸 여객수송의 비중은 극히 낮았지만, 1942년까지는 서울~이리[지금의 익산]~광주를 잇는 민간항공 노선이 유지되었다. 처음 주 2회 왕복이 주 3회로 늘어나면서 정보를 위한 기상관측소가 세워졌다. 하지만 상무대 비행장이 민간비행장으로 이용된 기간은 오래가지 않았다. 1942년에는 이 비행장을 일본육군이 인수하였다. 길이 1,000m의 활주로가 아스팔트 포장의 초기 시공 형태인 매카덤 공법으로 닦였는데, 활주로는 현재 전남고등학교 자리에서 상무소각장 방향으로 놓여 있었다. 비행연습생의 막사 등을 비롯한 부속시설들이 비행장 인근에 설치되었다. 이로 인하여 옛 국정원과 국군통합병원, 대신신학대학 일대에 있었던 응세농도학원이나 호남대학교 쌍촌동 캠퍼스 자리에 있었던 임업시험장 등이 1944년을 기점으로 모두 일본해군 군용지로 징발당하기도 하였다. 1944년 일제는 이곳을 일본해군에게 넘겼고, 특공(特功)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하게 될 가미카제 조종사들을 속성으로 양성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상무대 비행장이 통칭 요카렌[豫科練][일본해군 비행 예과연습생 또는 해군 소년항공병을 줄여 부르는 말] 비행장으로 사용된 것은 이 시기부터이다. 한편 상무대 비행장에 주둔한 일본해군 항공부대는 별도의 독립된 부대로 지칭되지는 않았다. 이 부대는 10대도 채 되지 않는 훈련기를 보유한 소규모였던 탓에 일반적으로 ‘광주항공대’로 호칭되었다. 그리고 1945년 2월 일본 이즈미에 있던 해군항공대가 해체되면서 남은 몇 대의 항공기들이 이곳으로 이전하였으며, 3월에는 광주 해군항공대가 편성되었다. 이 무렵부터 이 비행장은 요카렌의 양성 기지가 되는데, 이 요카렌은 일본해군이 전쟁 말기로 가면서 부족한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급조한 훈련제도였다. 당시 일본군의 자살특공대인 가미가제 전사자들의 이력에 광주 치평리 비행장이 더러 등장한다. 한편 상무대 비행장은 광복 후 다시 운영을 재개하였다. 광복 직후인 1949년 상무대 비행장에서는 다시 여객기가 취향하여 주로 서울을 왕복하였다. 당시 여객기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군이 사용하였던 군용기를 개조한 것으로 승객은 5명을 태우는 정도였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제주 항로가 열렸다. 그러나 광주~제주 항로는 승객 4명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얼마 후에 운항이 중단되었다고 한다. 상무대 비행장은 워낙 좁고 애초부터 민간공항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어서 결국 1964~1965년에 비행장을 이설하기에 이르러 현재처럼 광주공항 자리인 광산구 신촌동으로 이전하였다. 광주공항은 1948년 11월 교통부가 광산군 극락면 치평리[현재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광주비행장으로 개설하였고, 이듬해인 1949년 2월 10일 민항기[DC 3]가 처음으로 취항하였다. 1964년 1월 10일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으며, 본격적인 여객 수송을 위하여 여객청사, 유도로 및 계류장 등 시설 확장을 꾸준히 시행하여 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으며, 1990년 6월에 한국공항공사가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구성]

광주공항은 공사 인수 후 1994년도에는 연 14만 회 운항과 294만 명을 처리할 수 있는 여객청사, 5.6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화물터미널과 중형기 5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는 계류장, 945대 차량이 동시주차가 가능한 주차장 등 현대화 및 확장으로 한반도 서남부의 항공 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현황]

광주광역시청으로부터 서쪽으로 5.8㎞ 지점에 자리한 호남권의 주요 관문인 광주공항은 여객청사, 화물청사 등 2개의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활주로, 유도로 1개, 주기장 및 945대가 동시주차 가능한 주차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참고문헌]
  • 박선홍, 『광주 1백년』1(광주문화재단, 2012)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http://gjstory.or.kr)
  • 한국공항공사 광주공항(http://www.airport.co.kr/gwangju)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3 띄어쓰기 [변천] 띄어쓰기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