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957
한자 林谷中學校
영어공식명칭 Imgok Middle School
이칭/별칭 임곡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812[임곡동 78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유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46년 3월 15일 - 임곡민립학교 설립
인가 시기/일시 1949년 9월 30일 - 재단법인 임곡중학교 설립 인가[3학급]
개교 시기/일시 1949년 9월 30일연표보기 - 임곡중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82년 11월 30일 - 임곡중학교 학교법인 정성학원으로 법인 명칭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4년 1월 25일 - 임곡중학교, 「사립학교법」에 따라 학교법인 임곡중학교로 조직 변경
최초 설립지 임곡민립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812[임곡동 783-1]
현 소재지 임곡중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812[임곡동 783-1]지도보기
성격 사립중학교
설립자 학교법인 정성학원
전화 062-952-3802[교무실]|062-952-8504[행정실]
홈페이지 http://imgok.gen.ms.kr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임곡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정의로운 민주시민의 육성으로, 나라를 사랑하고 웃어른을 공경하는 사람[애국인], 주도적인 학습으로 실력을 갖춘 사람[실력인], 공동체를 생각하는 협동 봉사하는 사람[봉사인], 과학적인 사고로 생각하는 창의적인 사람[창조인], 강인한 체력으로 심신이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있다. 교훈은 ‘높은 이상, 강인한 의지, 부단한 창조’이다.

[변천]

임곡중학교는 1946년 3월 15일 임곡민립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49년 9월 30일 재단법인 임곡중학교[3학급]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초대 이사장으로 기봉걸, 초대 교장으로 이경묵이 취임하였다. 1964년 1월 25일 「사립학교법」에 따라 학교법인 임곡중학교로 조직이 변경되었고, 1982년 3월 31일 학교법인 정성학원으로 법인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5일 제74회 졸업식을 통해 1명이 졸업하여 총 7,29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임곡중학교는 주요 사업으로 ‘학생 인성교육 강화, 언어문화 개선 교육, 학생 배움 중심 수업을 실천,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독서, 인문학 교육 실시, 봉사 활동 내실화, 환경 생태 교육 실시, 창의 융합형 교육 실시, 정보 활용 능력 신장, 스마트교실 활성화, 안전교육 내실화, 학생 건강 체력 증진, 보건교육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색 교육으로는 작은 학교의 강점을 살린 학교 교육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현장 중심 체험학습 강화, 문화예술 교육 활성화, 창의적 체험 활동 활성화, 교직원 역량 강화, 가족 결연 멘토링[사제동행 껴안기] 프로그램,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 등을 실시하였다. ‘현장 중심 체험학습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소규모 현장 체험학습을 추진, 현장 체험학습 관련 홈페이지 운영 및 체험학습 프로그램 정보를 공개하였다. ‘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학생 중심의 문화예술 동아리 운영, 학교 축제와 연계한 발표회, 전문 인력 초빙 및 교외 예술 대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문화 기반 시설과 연계된 학교 밖 문화예술 체험학습 및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을 관람하게 하였다. ‘창의적 체험 활동 활성화’를 위해 내실 있는 현장 체험학습과 자유학년제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단순한 특강, 견학, 관람이 아닌 실질적인 체험 활동을 실시하고, 학생들이 주체가 되는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을 운영하게 하였다. ‘교직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전체 교사가 참여하여 교사 중심의 자율 장학이 되도록 하였고, 배움 중심의 수업 나눔을 위해 교원 연구회를 운영하였다. 현장 맞춤형 연수를 실시하여 연수 이수증과 이수 학점을 부여하였다. ‘가족 결연 멘토링 프로그램’은 교직원과 학생이 가족으로 결연[3명]되어 친밀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월 1회 사제동행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또한, 꾸준한 멘토링을 통해 학생의 진로 교육과 연계하여 꿈을 찾는 과정을 만들어 가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활성화, 다문화 교육 정책 운용, 교육과정 연계 다문화 교육 강화, 지역 다문화센터와의 협력·지원 강화, 청소년 사회 참여 동아리 만득이 운영’ 등을 진행하였다.

노력 중점 사업으로는 ‘꿈과 적성을 키워가는 진로 교육 활성화, 민주적이고 인권 친화적인 학교문화 조성, 소통과 참여로 신뢰받는 청렴한 학교 문화 조성’ 등을 진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작곡 김형구]는 다음과 같다.

[1절] 용진산 솟은 마루 빼어난 기상/ 저대로 우리 모습 빛나는 이상/ 굽이쳐 흘러가는 황룡강같이/ 걸음걸음 희망에 찬 우리의 앞길

[2절] 힘쓰라 사랑하라 즐거워하라/ 스승의 가르침을 배우고 닦아/ 제 힘으로 제 갈 길 개척해 가라/ 새 역사를 창조하는 주인이 되라

[후렴] 새 일꾼 자라나는 임곡중학/ 우리는 겨레의 힘 나라의 자랑

2. 교목: 소나무[기개]이다.

3. 교화: 철쭉[기쁨]이다.

4. 교색: 파란색[평화]이다.

[현황]

임곡중학교는 2021년 5월 기준 총 3학급에 26명[남 16명, 여 1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감 1명, 교사 8명, 그리고 행정직원 등 5명으로 총 14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20,620㎡로, 이 중에 교사 대지 면적은 11,520㎡, 운동장 면적은 9,100㎡이다. 도서실, 과학실, 미술실, 급식실, 컴퓨터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2020학년도 임곡중학교 교육과정 운영계획」(임곡중학교, 2020)
  • 「2020학년도 임곡중학교 교육운영 특색사업 계획」(임곡중학교, 2020)
  • 임곡중학교(http://imgok.gen.ms.kr)
  • 학교알리미(https://www.schoolinfo.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