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 어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1283
한자 民俗-語彙
영어공식명칭 Folk Gam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유정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사용하는 민속놀이와 관련된 어휘.

[개설]

민속놀이는 민속사회에서 민중에 의해 전승된 놀이를 가리킨다. 민속놀이는 강한 향토성을 띠는 동시에 대부분 민간제의의 요소가 두루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놀이는 존재방식과 더불어 전승하는 측면이 강조되며, 놀이의 방법에 따라서 개인놀이와 집단 놀이로 구분된다. 개인놀이는 대체로 상대성을 전체로 하여 승부 혹은 비승부를 통해 재미를 누리는 데 있다. 집단놀이는 지연 공동체의 구성원 대다수의 참여와 후원 아래 행해지는 놀이로서, 마을 중심으로 존재하고 세시의례나 통과의례 등 여느 행위 전승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민속놀이와 관련된 어휘는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개인놀이]

1) 그네

경산 지역어에서는 그네를 ‘군데’라고 한다. 그네는 추천(鞦韆)이라고도 한다. 큰 기둥을 두 개 세우거나 큰 자연목을 이용하여 두 가닥의 줄을 매고 줄의 맨 아래 끝에 발판을 만들어 놓고, 그 위에 올라서거나 앉아서 몸을 앞뒤로 왔다갔다 하는 형식이 대표적이다.

2) 고누

경산 지역어에서는 고누를 ‘꼰놀이’라고 한다. 땅이나 종이 위에 말밭을 그려 놓고 두 편으로 나누어 말을 많이 따거나 말 길을 막는 것을 다투는 놀이다.

3) 공기놀이

경산 지역어에서는 공기놀이를 ‘나리치기’라고 한다. ‘니리치기’는 ‘내려치기’의 방언이다. 다섯 알을 위로 던지고 손등으로 받아 다시 위로 올린 뒤 공중에서 잡아채는 놀이다.

4) 비사치기

경산 지역어에서는 비사치기를 ‘돌맞히기’라고 한다. 손바닥만 한 납작한 돌을 세워 놓고 얼마쯤 떨어진 곳에서 돌을 던져 맞히거나 발로 돌을 차서 맞추어 넘어뜨린다.

5) 방패연

경산 지역어에서는 방패연을 ‘방구연’라고 한다. 방패 모양으로 만든 연이다. 네모반듯한 종이의 한 귀퉁이를 접어서 머리 쪽이 되게 하고 ‘간(干)’자 모양의 달을 붙이고 꽁지를 달고 가운데는 구멍을 내어, 세로 두 줄의 벌이줄과 가로 활벌이줄을 잡았다.

이밖에도 경산 지역어에서는 정한 땅에서 자신의 뼘씩 땅을 넓혀가 많은 땅을 차지하는 놀이를 ‘땅삠’, 막대기나 친구들의 등을 말로 삼아 타고 노는 놀이를 ‘말타기’, 물가에서 돌을 던져 돌이 몇 번 튀는가를 겨루는 놀이를 ‘물수제비’, 물가에서 돌을 던져 멀리 던진 사람이 이기는 놀이를 ‘물팔매질’, 닭싸움 놀이를 ‘정강이 치기’ 라고 한다.

[소집단놀이]

1) 오자미

경산 지역어에서는 오자미를 ‘공개’라고 한다. 공개는 헝겊 주머니에 콩 따위를 넣고 봉하여서 공 모양으로 만든 주머니를 말한다. 경산 지역에서는 제기 대신 찬다고 한다.

2) 공놀이

경산 지역어에서는 공놀이를 ‘궁굴래궁굴래’라고 한다. 여러 사람이 나란히 앉은 다음, 무릎을 세워 공간을 만들고, 그 사이로 공을 굴리며 노는 놀이이다.

3) 자치기

경산 지역어에서는 자치기를 ‘까나’라고 한다. 짧은 막대를 치면서 ‘까나’라고 외치기도 한다. 자치기는 정하여진 순서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짤막한 나무토막을 긴 막대기로 쳐서 날아간 거리를 재어 승부를 정하는 놀이이다. 지역에 따라 메뚜기 차기, 오둑테기, 막대, 마패 등으로 부르며, 토끼 방구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

4) 꼬리잡기

경산 지역어에서는 꼬리잡기를 ‘위따기’라고 한다. 두 편으로 나누어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서서 맨 앞사람이 상대편의 맨 뒷사람을 붙잡는 방법과 한 명의 술래가 일렬로 늘어선 사람 가운데 맨 뒷사람을 붙잡는 놀이다.

5) 윷놀이

윷놀이에서 윷의 세 짝은 엎어지고 특정한 표시를 한 한 짝이 젖혀진 경우를 ‘뒷도’, 두 동이 한 데 포개어져 가는 말을 ‘두동무니’, 세 동이 먼저 나면 이기는 내기를 ‘석동내기’라고 한다.

그밖에도 서로 한 쪽 다리를 엮어 옆으로 돌면서 노래를 부르는 놀이를 ‘물레방아놀이’한다. 제기차기와 관련해 한 방식으로 발등을 사용하여 제기를 차는 놀이를 ‘발등차기’, 양발 모두를 사용하여 제기를 차는 놀이를 ‘양발차기’, 한 발을 계속 들고 제기를 차는 놀이를 ‘외발차기’라고 한다. 여러 사람이 허리를 구부려 다리를 만들고, 그 위를 한 사람이 노래를 부르며 밟고 지나가는 놀이를 ‘제밝기놀이’라고 한다.

[집단놀이]

1) 달집태우기

경산 지역어에서는 달집태우기를 ‘달불놀이’라고 한다. 또는 ‘달집사르기’라고도 한다. 음력 정월 대보름날 농악대와 함께 망우리를 돌리며 달맞이할 때 주위를 밝게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이 대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짚, 솔가지, 땔깜 등으로 덮고 달이 뜨는 동쪽에 문을 내서 만든 것을 달집이라 한다. 달집 속에는 짚으로 달을 만들어 걸고 달이 뜰 때 풍물을 치며 태운다.

2) 줄다리기

경산 지역어에서는 줄다리기를 ‘줄땅기기’라고 한다.. 줄다리기는 옛날부터 이남 지방에서 성대한 중대적 의의를 가진 특수한 놀이로서 대개는 정월 대보름날에 하며, 지방에 따라서 5월5일 단오절이나 7월 보름날 백중절에 한다.

3) 화전놀이

경산 지역어에서는 화전놀이를 줄여 ‘화전’이라고 한다. 화전놀이는 화유놀이나 꽃놀이 등으로도 불렀다.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부녀자들이 나들이를 할 수 있는 공식적인 행사라 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