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호교거 차박사암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41
한자 渼湖僑居 次朴思菴韻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장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629년 8월 1일 - 「미호교거 차박사암운」 김수항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89년 4월 9일 - 「미호교거 차박사암운」 김수항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99년연표보기 - 「미호교거 차박사암운」 『문곡집』 수록
배경 지역 석실서원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미호 - 경기도 남양주시
성격 한시
작가 김수항

[정의]

조선 후기 문인 김수항이 경기도 남양주시 미호에서 지은 한시.

[개설]

「미호교거 차박사암운(渼湖僑居 次朴思菴韻)」은 조선 후기 문인 김수항(金壽恒)[1629~1689]이 경기도 남양주시 석실서원 인근의 미호에서 지은 한시이다.

김수항의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문곡(文谷), 자는 구지(久之)이다. 김장생(金長生)[1548~1631]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1607~1689], 송준길(宋浚吉)[1606~1672]과 깊게 교류하여, 사림(士林)의 종주로 추대되기도 하였다. 벼슬은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1689] 때 실각하여 진도(珍島)에서 사사되었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騈儷文)에 능하여 당대의 제일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 또한 전서(篆書), 해서(楷書), 초서(草書) 에 모두 능하였다. 대표적인 문집은 『문곡집(文谷集)』이며, 「미호교거 차박사암운」은 1699년 김창집(金昌集), 김창협(金昌協)이 간행한 『문곡집』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구성]

「미호교거 차박사암운」의 형식은 칠언율시(七言律詩)이고, 운자(韻字)는 산(山), 란(蘭), 만(漫), 한(寒), 탄(灘)이다.

[내용]

「미호교거 차박사암운(渼湖僑居 次朴思菴韻)」[미호의 임시 처소에서 박사암의 시를 차운하다]

행장적막기호산(行裝寂寞寄湖山)[행장을 쓸쓸히 호산에 부치니]

구월엄상최자란(九月嚴霜摧紫蘭)[구월의 된서리에 자란이 꺾이누나]

극포파도추묘묘(極浦波濤秋渺渺)[포구 끝자락의 파도에 가을은 아련하고]

고루풍우야만만(高樓風雨夜漫漫)[높은 누각의 비바람에 밤은 더디구나]

공명이작춘잠퇴(功名已作春蠶退)[공명은 벌써 버려둔 봄누에 꼴 되었고]

서식환동여안한(棲息還同旅雁寒)[사는 곳 외려 추위에 떠나는 기러기 모양인데]

지척창오빈설체(咫尺蒼梧頻雪涕)[창오가 지척이라 자주 눈물 닦으니]

숭릉남반시왕탄(崇陵南畔是王灘)[숭릉의 남쪽 언저리가 바로 왕탄이로다]

[특징]

「미호교거 차박사암운」김수항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었던 석실서원 인근 미호에서 지은 한시이다. 미호김수항의 시제로 자주 등장하는 장소이다. 수련(首聯)에서는 자신의 짐을 꾸려 보낸 뒤 숙소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처량하게 묘사하고 있다. 자신을 자란(紫蘭)에 빗대고, 자신에게 닥친 고난을 구월의 된서리에 묘사한다. 자란이 꺾였다는 말로 자신이 고난을 이겨 내지 못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함련(頷聯)에서는 파도치는 모습과 비바람이 몰아치는 정경을 묘사하면서 자신의 심란한 마음을 대변하고 있다. 경련(頸聯)에서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가 마치 실을 뽑아낸 이후 버려진 누에와 같다고 묘사를 하며, 시련을 이기지 못한 자신을 추위에 떠나는 기러기라며 회한을 강조하고 있다. 미련(尾聯)에서는 선왕의 능을 이야기하면서, 선왕 때에 비하여 초라해진 자신을 떠올리며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으로 감정을 고조시키고 있다.

[의의와 평가]

「미호교거 차박사암운」은 정치 일선에서 강제로 물러난 김수항이 선왕 때에 비하여 정치적 입지가 좁아진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이다. 김수항의 회한이 진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 『문곡집』 (한국고전번역원, 20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