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십일월왕포천족형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04
한자 十一月往抱川族兄家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엄익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97년 - 「십일월왕포천족형가」 저자 허전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86년 - 「십일월왕포천족형가」 저자 허전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91년 - 「십일월왕포천족형가」를 수록한 『성재집』 간행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845년 11월연표보기 - 「십일월왕포천족형가」 허전 창작
성격 한시
작가 허전

[정의]

1845년 허전이포천의 친척 집을 방문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십일월왕포천족형가(十一月往抱川族兄家)」는 조선 후기의 문신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이 1845년 11월에 경기도 포천의 친척 형의 집을 방문하여 지은 한시이다. 「십일월왕포천족형가」는 허전의 문집 『성재집(性齋集)』 권 1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영문악수소개안(迎門握手笑開顔)[맞이하는 문에서 얼굴빛 활짝 열리게 웃으며 손잡으니]

미게선망도로간(未憇先忘道路艱)[오는 여정의 고난은 잊어 쉬지 않아도 되네]

이별다시증백발(離別多時增白髮)[이별했던 오랜 시간에 백발은 늘었으나]

생애의구견청산(生涯依舊見靑山)[생활은 예전처럼 푸른 산을 바라보네]

지친상대진정후(至親相對眞情厚)[가까운 인척을 서로 대하니 진솔한 정이 두텁고]

고리중래적의한(故里重來適意閒)[고향에 다시 오니 뜻 맞아 한가롭네]

수습문서유일부(收拾文書惟日富)[문서를 수습하고 날을 살피니 여유로워]

과아신구옥삼간(課兒新搆屋三間)[새로 얽은 삼간 집에서 아이를 가르치네]

[특징]

『성재집(性齋集)』 권 1은 시편으로 1839년에 지은 「조경(照鏡)」부터 창작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십일월왕포천족형가」는 1845년 이동순(李同淳)[1779~1860]이 동지사의 부사(副使)로 중국에 갈 때 지은 「송별동지부사이장동순(送別冬至副使李丈同淳)」의 바로 뒤편 두 번째에 편차되어 있다. 이로 보아 허전이 1845년 11월에 고향 포천의 친척 집을 방문하였을 때 「십일월왕포천족형가」를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허전은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 순암(順庵) 안정복(安鼎福)[1712~1791],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1750~1827] 등을 이은 기호(畿湖)의 남인 학자로 당시 유림에서 영남 퇴계학파를 이끈 유치명(柳致明)[1777~1861]과 성리학적으로 쌍벽을 이룬 인물이다.

[참고문헌]
  • 『성재집(性齋集)』
  • 한국 고전 번역원 한국 고전 종합 DB(http://db.itkc.or.kr)
  •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이용자 의견
이** 상기 요청사항에 대해 한번더 송구함을 전합니다.
  • 답변
  • 디지털포천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청하신 한시 관련 내용은 메일로 답변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1.10
이** 성재선생의 한시 정보 감사합니다.동 한시 바로앞 첫번째 송별시(송별동지부사이장동순)를 작성자 메일[delee6681@hanmail.net]로 보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작성자는 안동번남댁 참판공(이동순)의 후손입니다.무례한 부탁 송구합니다.안녕히계십시요.
  • 답변
  • 디지털포천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청하신 한시 관련 내용은 메일로 답변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1.1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