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241 |
---|---|
한자 | 大橋里-祭 |
영어공식명칭 | Religious Ritual for a Well of Daegyori Bamsil |
이칭/별칭 | 대교리 요왕제,대교리 샘고사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익 |
의례 장소 | 대교리 밤실 샘제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
---|---|
성격 | 동제|샘제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월 15일 |
신당/신체 | 샘 |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주민들이 음력 1월 15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개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1리 밤실의 샘제는 예로부터 전승되어오는 공동체 의례이다. 샘제와 기고사를 지내기 위하여 먼저 유사를 뽑는다. 유사는 깨끗하고 부정이 없으며 가정이 안정된 인물로 가린다. 한때는 부정이 없어야 한다는 명분 때문에 노부부를 유사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유사로 선정된 사람은 자신의 집 대문에 금줄을 걸고 황토를 놓아 부정을 막았다. 또한 유사로 선정된 인물은 “고사를 지내려면 내 집 조상은 잊어야 한다”고 하여 집안 제사도 모시지 않았다고 한다.
제사 비용은 마을 자금을 이용한다. 예전에는 걸립(乞粒)을 통하여 재화를 모아서 제사를 지내었다.
제물은 떡 한 시루, 통북어, 밤, 대추, 곶감, 배, 사과, 제주 등이다. 제주는 유사가 제사를 지내기 10일 전에 직접 담가서 사용하였다.
보름날 새벽 3시경에 유사를 비롯한 주민들이 마을 회관에서 식사를 한다. 식사를 마친 뒤 마을 풍장패를 앞세우고 ‘위하는 샘’으로 이동한다. 샘 앞에 도착하여 기를 세우고 기고사와 샘제를 지낸다. 이어서 샘 앞에서 용왕 소지(燒紙)를 올리며 샘물이 마르지 않고 농사가 풍년들기를 기원한다.
[연원 및 변천]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제의라고 하나 시원을 알기 어렵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마을의 샘제는 기고사와 함께 시행된다. 2019년 현재 기고사에 사용되는 농기는 1944년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기록으로 추정하여 볼 때 1944년도 또는 이전부터 샘제와 기고사가 시행되었음을 추정하여 볼 수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의 샘은 마을에서 300m 떨어진 논두렁 가에 있다. 샘은 원통형인데 입구의 지름이 1m이고 방호벽의 높이가 1.3m이다.
[절차]
제의 전날일 정월 열나흘 오후에 샘청소를 한다. 유사를 비롯한 주민들이 ‘위하는 샘’에 가서 샘물을 퍼내고 주변을 청결하게 청소한다. 그리고 마을로 돌아와 다음 날 새벽에 샘제를 지낼 준비를 한다. 보름날 새벽 3시경 유사와 마을 사람들이 마을 회관에서 식사를 한다. 식사를 마치고 나서 유사 일행이 ‘위하는 샘’으로 이동한다. 풍물패가 풍장을 울리며 길을 인도한다. 유사 일행은 기가 꽂혀있는 샘 앞에 준비한 제물을 차려 놓는다. 제물 진설을 마치면 바로 제사를 시작한다. 제사는 먼저 마을기를 대상으로 한다. 유사가 앞으로 나와 분향하고 술을 올린다. 그러면 태불사 주지가 불경을 외며 축원하여 준다.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분향강신-헌주-고축-소지올림의 순으로 지내었다. 몇 년 전부터 태불사 주지를 초청하여 기고사와 샘제를 지내고 있다. 염불을 마친 뒤 소지(燒紙)를 올린다. 소지 역시 주지가 올리는데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행한다. 마을 전체의 안녕을 기원하는 대동 소지, 풍년을 비는 농사 소지, 유사와 마을 대표 소지, 주민 소지를 올려준다. 예전에는 마을 각 가구의 대주 소지를 개별적으로 올렸으나 지금은 주민 소지로 대신한다.
사를 마치면 주지가 차려놓은 제물을 조금씩 떼어서 그릇에 담는다. 그리고 제물을 가지고 샘으로 가서 샘 속에 넣는다. 샘을 세 바퀴 돌면서 염불을 하고 풍년 들기를 축원한다. 축원을 마친 뒤 용왕 소지를 올리고 샘제를 마감한다.
[현황]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주민들은 매년 ‘위하는 샘’에서 기고사와 샘제를 지낸다. 새벽에 지내는 밤실의 마을 의례는 엄숙한 분위기로 다수 주민이 참여하여 수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