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207 |
---|---|
한자 | 星州誌[1786] |
영어공식명칭 | Seongjuji |
이칭/별칭 | 『성주읍지(星州邑誌)』,『성주목읍지(星州牧邑誌)』,『성주목지(星州牧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재두 |
편찬 시기/일시 | 1786년 - 『성주지』[1786] 편찬 |
---|---|
소장처 | 일본 덴리대학 덴리도서관 이마니시문고 - 일본 나라현 덴리시 |
소장처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나가타초 |
성격 | 읍지 |
편자 | 성주목 |
행자 | 10행 20자 |
규격 | 30.3×19.9㎝ |
어미 |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
권수제 | 성주목(星州牧) |
[정의]
1786년 규장각과 경상감영의 지시로 편찬한 성주목 읍지.
[편찬/간행 경위]
1786년 정화순(鄭華淳) 목사 재임 당시 편찬하였다. 1786년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이 실시됨에 따라 각 도 감영은 관내 각 고을 수령이 주도하여 편찬한 읍지를 엮어 정부에 상송하였다. 현재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덴리 도서관[天理圖書館] 이마니시 문고[今西文庫]에 소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마니시 문고의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는 동일한 인찰지(印札紙)에 재필사한 것이다.
[형태/서지]
이마니시 문고본의 『성주지(星州誌)』[1786]에는 성주목만이 아니라, 울산부와 김해부의 읍지도 함께 묶여 있다. 성주목 부분은 인찰 공책지에 재필사한 것으로 31장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이며,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30.3×19.9㎝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며, 지도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수제는 ‘성주목(星州牧)’으로 되어 있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경상도읍지』권25 「성주목읍지」는 이마니시 문고본을 세주(細註) 구분 없이 내용 위주로 베낀 것이다.
[구성/내용]
『여지도서(輿地圖書)』처럼 권수제로 제시한 ‘성주목(星州牧)’ 아래에 세주(細註)로 ‘강역(彊域)’을 열거하였다. 수록 항목은 건치 연혁(建置沿革), 군명, 관직, 성씨, 산천, 풍속, 방리(坊里), 호구(戶口), 한전(旱田), 수전(水田), 균세(均稅), 대동(大同), 군액(軍額), 창고, 조적(糶糴), 성지(城池), 관방(關防), 진보(鎭堡), 봉수, 단묘(壇廟), 학교, 능묘(陵墓), 불우(佛宇), 공해(公廨), 누정, 제영(題詠), 책판(冊板), 교량, 도서(島嶼), 제언(堤堰), 장시, 역원, 목장, 형승, 고적, 물산, 진공(進貢), 봉름(俸廩), 관적(官籍), 인물, 과거(科擧) 문과, 무과, 음사(蔭仕), 충렬, 효자, 열녀, 도로 순으로 지도는 생략하였다. 호구는 1786년 병오식(丙午式) 통계로 1만 1951호에 5만 4291명이다. 관적 선생안(先生案)에는 고려 태조조 이총언부터 1786년 초 부임하여 1789년 6월 진주목사와 교체한 정화순까지 실려 있다. 진보에는 없다고 표시한 뒤, 광선(廣船) 14척, 농선(農船) 12척, 진선(津船) 2척을 기재하였다.
[의의와 평가]
『성주지』[1786]는 1786년에 편찬한 관찬 읍지(官撰邑誌)로 18세기 후반 성주 지역의 역사와 지리, 인문 환경을 비롯해 각종 부세 규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