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주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424
한자 新安朱氏
영어공식명칭 Sinan Joo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인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신안 - 중국 안휘성 휘주부
입향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성씨 시조 주희
입향 시조 주광성

[정의]

중국 남송의 주희(朱熹)를 시조로 하고, 주광성(朱光成)을 입향조로 하는 성주 지역의 세거 성씨

[연원]

신안 주씨(新安朱氏)의 시조는 주희이며, 동국시조는 주잠(朱潛)이다. 주잠은 중국 송나라의 주자(朱子)의 증손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한림학사를 역임했다. 몽고의 침입으로 남송의 조정이 위기에 직면하자, 1224년(고종 11) 주잠이 2남 1녀와 문하생 섭공제(葉公濟) 등 7학사를 대동하고 고려 금성(錦城)으로 망명했다가 이후 능성현에 정착했다. 이후 후손들의 입향 세거지에 따라 관향이 능성(綾城), 전주(全州), 압해(押海) 등 여러 갈래였던 것을 조선 고종 때 원수부(元帥府) 기록국장이던 주석면(朱錫冕)이, 조선에 거주하는 주자(朱子)의 후손들은 주자의 원향(原鄕)인 신안(新安)으로 관향을 통일해줄 것을 상소하여 윤허를 얻음으로써 신안 주씨로 통일되었다.

[입향 경위]

주자의 25세 주광성[1714 ~1775]이 경상북도의 칠곡군 등지를 거쳐 성주군 용암면 지수동(智水洞)에 정착하여 성주의 입향조가 되었다.

[현황]

청계공 주잠의 아들 여양공(汝陽公) 주여경(朱餘慶)은 고려 고종 때 악정(樂正)을 지내고 후에 밀직사(密直使)에 증직되었다. 주여경의 장자 문절공(文節公) 주열(朱悅)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도판서(版圖判書)·부지밀직전법판서(副知密直典法判書)를 거쳐 지도첨의부사(知都僉議府事)를 지냈다. 이후 그의 아들 주인장(朱印長), 주인원(朱印遠), 주인환 등 3형제가 각각 장파(長派), 중파(仲派), 계파(季派) 등으로 파조되어 전국에 산거하였다. 성주 지역의 신안 주씨는 중파(仲派)의 후손들이다. 후손들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의 지수와 마월 등지에 산거하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중거리에 소재한 자양서당의 명칭은 주자의 별호에서 가져왔으며, 주자의 영정을 봉안한 영각(影閣)을 건립하여 그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참고문헌]
  • 『성주군지』(성주군·성주문화원, 201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