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 홍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433
한자 南陽洪氏
영어공식명칭 Namyang Ho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기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남양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입향지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집실마을
성씨 시조 홍은열
입향 시조 홍언수

[정의]

홍은열(洪殷悅)을 시조로 하고 홍언수(洪彦脩)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성주군의 세거 성씨.

[개설]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경상북도 성주군의 세거 성씨 중 하나이다. 남양 홍씨는 크게 당홍계와 토홍계로 구분된다. 당홍계는 당나라에서 고구려에 파견한 홍천하(洪天河)에 연원을 두고, 토홍계는 고려 고종 때 금오위 별장을 지낸 홍선행(洪先行)을 시조로 한다. 성주 지역의 남양 홍씨는 당홍계이다. 남양 홍씨 당홍계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관료를 배출하였다.

[연원]

남양 홍씨 당홍계의 선시조(先始祖)로 불리는 홍천하는 고구려 영류왕 때 당나라 태종이 파견한 8명의 학사 중 한 명이었다고 한다. 고구려에 들어와 유학을 가르치던 홍천하는 고구려의 정국이 어려워지자 신라로 피신하였고, 문무왕 때 당성백(唐城伯)[현 경기도 화성시]에 봉하여졌다. 홍천하의 후손들은 10세에 걸쳐 신라에서 벼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세계를 고증하기 어려워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 태사에 올랐다고 하는 홍은열을 1세조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이후 11세 홍규(洪奎)[?~1316]는 추성진력정안공신(推誠陳力定安功臣)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에 올랐는데, 이때부터 본관의 명칭을 당성에서 남양으로 변경한 듯하다.

[입향 경위]

남양 홍씨의 성주 지역 입향조 홍언수는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아들인 첨사 홍승(洪勝), 사위인 판윤 박가권(朴可權)과 함께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집실 마을에 정착하였다. 후손들은 홍승을 낙남파조(落南派祖)로 부른다.

[현황]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의하면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남양 홍씨는 총 318명이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성주군지』(성주군·성주문화원, 2012)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https://www.census.go.kr)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한국족보출판사(http://www.findroot.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