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검찰사 이규원 등이 남긴 각석(壬午銘 刻石文)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D02010006
한자 검찰사 이규원 등이 남긴 각석(壬午銘 刻石文)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태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호동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태하 2리 학포 남단 해변 암벽면에 새겨진 각석문

태하 2리 학포마을 남단에 산왕각으로 가기 전 해변 암벽면에 새겨진 각석문(임오명각석문)으로 문화재자료 제4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각석문은 고종 19년(1882) 5월 검찰사 이규원이 조정의 명을 받아 울릉도 내 경작이 가능한 지역을 답사하고, 무단으로 왕래하는 일본인들의 실태를 파악하도록 파견되어 체류하고 있을 때 새긴 것이다. 그의 '울릉도검찰일기계본초(鬱陵島檢察日記啓本草)'에도 확인되며, 조선조에서 울릉도에 관리를 파견한 구체적인 증거가 된다. 현재 확인되는 각석문은 크게 네 곳에서 확인되며, 먼저 '검찰사 이규원 고종팔 유연호 임오오월일(檢察使 李奎遠 高宗八 劉淵祜 壬午五月日)'과 우측에 '전석규(全錫奎)', 좌측 하단에도 이름으로 추정되는 각자가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자연암반면에 새겨진 이규원 각석문 내용

이규원 각석문 뒤쪽 면에는 '심의완(沈宜琓)', 좌단에 '울릉도(蔚陵島)', 우측 별도의 바위에는 '서상목(徐相穆)' 등의 각자도 확인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자연암반면에 새겨진 울릉도 각자

이규원은 1833년 강원도 태생의 전주인으로 1851년 무과에 급제하고 1868년 함경도 정평, 단천, 황해도 풍천부사 등 7개 부·현의 장을 역임하였으며, 1881년 5월부터 1882년 7월까지 울릉도검찰사로 역임하였다. 이어 경상좌도병마절도사·어영대장·총융사를 거쳐 1884년 갑신정변 실패 후 수구파정권이 들어서자 해방총관(海防總管)·동남제도개척사(東南諸島開拓使)로 임명된 이래 함경남도병마절도사·제주목사 등을 지냈다. 1894년 개화파정권이 들어선 이후에도 군무아문대신·안무사·경성부관찰사·중추원의관·궁내부특진관·함경북도관찰사를 지냈다. 1901년 사망했으며 시호는 장희(莊僖)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