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1079
영어음역 Ttebae
영어의미역 Raft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경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업도구|배
재질 나무
용도 수산물 채취용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해안가 수산물을 채취할 때 사용한 뗏목 형태의 배.

[개설]

육지에서 200~300m에 이르는 해안가에서 미역, 다시마, 김, 곰피, 모자반 등을 채취하거나 오징어 낚시, 손꽁치잡이를 할 때 사용하였다. 일반 어선보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바위 틈새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배도 상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봄이나 여름에 주로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60년대 말까지는 울릉도에 오동나무가 많았고 제작방법도 단순해서 떼배를 많이 만들어 썼지만 지금은 잘 볼 수 없다. 그러나 최근에는 떼배가 울릉 지역의 전통 민속놀이에 사용됨에 따라 복원되어 군 축제에 이용되고 있다. 매년 8월에 개최되는 울릉도 오징어 축제에서는 노를 저어서 도착점에 빨리 도달하는 ‘떼배 경주대회’가 열리고 있다. 이를 주관하는 군내 11개 어촌계에서 각각 떼배를 제작하여 유지·관리해 오고 있다.

[형태]

울릉도에서 떼배는 개척시기부터 사용한 것으로 동해안에서 사용한 떼배와 규모와 형태가 비슷하다. 제주도 떼배보다는 작고 단순하다. 직사각형으로 가로 3~4m, 세로 1.5~2m 가량 되며 노지게는 40㎝ 가량 된다. 떼배를 만들 때에는 가볍고 물에 잘 뜨는 버드나무나 오동나무를 쓰며 직경 30㎝ 가량 되는 것이 적당하다.

오동나무의 껍질을 까서 3~4m 길이로 자른 뒤 햇볕에 한 달 정도 말린다. 그 다음 두세 군데 장대를 박는데, 이때에는 비교적 단단한 고로쇠나무가 적당하다. 나무 앞과 뒤에 사각이나 둥근 구멍을 뚫고 장대를 박은 뒤 통나무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배 끝에 노지게와 노좆 그리고 노를 단다.

배 위에는 물 칸이나 난간을 만들어 해조류나 물고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오동나무는 가볍고 물에 잘 떠서 떼배뿐만 아니라 어로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서 물에 띄워두는 뜸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