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1087
영어음역 Junakbaguni
이칭/별칭 주낚바구니,주낙광주리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경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업도구|낚시도구
재질 대나무
용도 낚시 바늘을 사릴 때 사용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긴 줄에 연결된 가짓줄과 낚시 바늘을 사릴 때 쓰는 도구.

[개설]

주낙은 한 가닥의 긴 줄[모릿줄]에 여러 개의 가짓줄[아릿줄]을 달고 가짓줄 끝에 낚시와 미끼를 달아 물속에 넣어두고 물살에 따라 감았다 풀었다 하여 물고기를 낚는 어법으로, 연승어업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주낙바구니는 이 주낙을 사릴 때 사용하는 어업 도구로서 주낙광주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고등어나 명태 등 잡어를 잡을 때 사용했던 것으로 울릉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많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낙의 고어는 ‘줄낛’으로 ‘낛’은 낚시의 옛말이다.

[형태]

주낙바구니는 지름 57㎝의 둥근 원형으로 된 대나무 바구니이다. 만드는 방법은 폭 2~3㎝로 얇게 자른 대나무를 교차시켜 둥글고 평평한 바구니 형태로 짜면 된다. 둥근 모양을 살리기 위해 가정에서는 중앙에 솥뚜껑을 놓고 짜기도 했다. 그런 다음 낚시 바늘을 돌려 꼽기 위해 주낙바구니 가장자리에 직경 3㎝ 정도의 두께로 짚을 꼬아 두른 다음 철사로 고정시키면 된다. 주낙바구니 안에는 천을 깔아놓는다.

주낙바구니를 장만하는 방법은, 긴 줄에 연결된 여러 개의 낚시 바늘에 미끼를 꽂고 이것을 차례대로 바구니의 가장자리 쪽에 둘러쳐진 짚에 꽂은 다음 그 줄을 바구니의 안쪽에 잘 포개어둔다. 보통 이 가짓줄과 낚시 바늘을 가리켜 ‘낙수’라고 부르며, 낙수는 60여 개 정도를 사용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조업을 할 때에는 짚에 꽂아놓은 바늘을 차례대로 물에 띄우는데, 바구니와 낙수의 개수는 홀수로 맞춘다. 주낙바구니의 긴 줄에는 뜸과 돌을 연결해 놓기 때문에 적절한 깊이까지 들어가면 고정된다. 조업이 끝나면 가짓줄들이 엉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여기에 깔아놓은 천에 바늘을 차례대로 꽂아둔다. 울릉도 향토사료관에 1점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 『울릉군지』 (울릉군지편찬위원회, 2007)
  • 인터뷰(도동리 주민 김태환, 남, 51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