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036
한자 梅巖集
영어음역 Maeamjip
영어의미역 Maeamjip Anthology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안병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시문집
관련인물 이숙량(李叔樑, 1519~1592)|이명철(李明澈)
저자 이숙량(李叔樑, 1519~1592)
편자 이명철(李明澈)
간행자 이명철(李明澈)
저술연도/일시 1592년연표보기
편찬연도/일시 1936년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938년연표보기
권수 2권
책수 1책
가로 31.0㎝
세로 20.6㎝
표제 梅巖集
간행처 화수재(花樹齋)
소장처 안동대학교 도서관|한국국학진흥원도서관|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경동로 1375]지도보기|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20[퇴계로 1997]지도보기|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관악로 1]

[정의]

1938년 간행된 안동 출신의 학자 이숙량의 시문집.

[개설]

이숙량(李叔樑, 1519~1592)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아들로 1543년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대과에는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퇴계 이황(李滉)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는 한편, 금보(琴輔) 오수영(吳守盈, 1521~1606) 등과 더불어 선성삼필(宣城三筆)로 불렸다.

대구 인근에 연경서원(硏經書院)을 창설하고 이와 관련하여 「연경서원기(硏經書院記)」를 짓기도 했는데, 이러한 사실은 이를 기린 이황의 「이대용의 ‘연경서원기문’에 덧붙이는 글[書李大用硏經書院記後]」에 잘 드러나 있다. 1570년에는 예안 지역의 이황 문도들, 예컨대 오천의 김씨 형제들과 조목(趙穆), 이안도(李安道: 이황의 장손) 등과 함께 역동서원(易東書院)에 나아가 『심경(心經)』을 강독하여 퇴계 이황의 칭송을 받았다.

[편찬/발간경위]

『매암집(梅巖集)』은 1938년 후손 이명철(李明澈)이 편집하여 경상북도 안동에 있던 화수재(花樹齋)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매암집』은 현재 한국국학진흥원도서관, 안동대학교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38년 간행된 안동대학교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2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가로 31.0㎝, 세로 20.6㎝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모두 매암선생문집(梅巖先生文集)이다.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고,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서문은 없으며, 권두에 있는 목차에 따르면 권1에는 시 48수, 편지 9편, 기문 1편, 제문 1편, 묘갈 2편과 잡저에 글 1편과 유묵(遺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유묵은 본래의 유묵 대신 활자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부록으로 만사, 제문, 유사, 행장과 증유(贈遺)로 시와 4편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말에 김동진(金東鎭)의 발문과 후손 이용구(李龍九)의 격문후(檄文後)가 있다.

[의의와 평가]

『매암집』에 실려 있는 「분천강호록(汾川講好錄)」은 저자의 교육관을 담은 글로, 여씨향약(呂氏鄕約)에 근본하여 집안의 질서를 세우기 위해 쓴 것이다. 국문을 혼용하여 노래를 지었는데, 이것은 집안의 아이들이 부르기 쉽게 하여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분천강호록」의 원본은 현재 보물 1202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