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65 |
---|---|
한자 | 內唐洞 |
영어공식명칭 | Naedang-dong |
이칭/별칭 | 안땅골,내당곡,내당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전영권 |
[정의]
대구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내당동(內唐洞)은 대구광역시 서구 법정동 9개 중 하나이다.
자연 마을로는 감나무밭, 감삼지, 당골, 당산, 무영당샘, 반고개[밤고개], 배암골, 삼구못, 새길시장, 서꾸마, 소전[牛田], 애락원(愛樂園), 야시골, 우물재, 합성도로 등이 있다.
[명칭 유래]
당산(堂山) 안쪽에 위치하는 마을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산 아래에 세 그루의 오래된 당산나무[소나무]가 있었는데 당산나무를 중심으로 안쪽에 있는 마을을 ‘안당골(內堂谷)’, 바깥쪽에 있는 마을을 ‘바깥당골(外堂谷)’이라 불렀다. 내당동은 ‘안당골’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안땅골’, ‘내당곡’, ‘내당리’ 등으로 불려 왔다.
[형성 및 변천]
본래 대구부 달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일제의 행정개편에 따라 경상북도 대구부 내당동이 되었다. 1949년 경상북도 대구시 내당동[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63년 구제(區制)가 실시됨에 따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내당동이 되었다. 1970년 7월 1일 「시 조례 제610호」에 의거하여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내당5동으로 분동되었고, 1982년 7월 14일 「시 조례 제1589호」[1982년 7월 24일 공포]로 내당1동이 내당1동과 내당6동으로 분동되었다. 1985년 12월 1일 「시 조례 제1911호」[1985년 10월 31일 공포]로 내당6동이 내당6동, 내당7동으로 분동되었다. 1988년 1월 1일 「시 조례 제2148호」[1987년 12월 31일 공포]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어 내당동 일부[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가 달서구 두류동에 편입되었고, 내당7동이 내당4동으로 바뀌면서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이 되었다.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1981년 대구직할시 서구 내당동, 1995년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이 되었다. 내당동은 법정동이고 행정동은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이다.
[자연환경]
내당동은 주변의 낮은 구릉지로 둘러싸인 논농사 지대였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내당동 서쪽의 감삼지(甘三池)는 제법 규모가 큰 저수지였다.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구릉지 중 대표적인 구릉지로는 남쪽에 금봉산(金鳳山)[139m)과 두류산(頭流山)[125.6m]이 있다.
[현황]
내당동의 면적은1.86㎢이며, 인구는 2021년 9월 30일 현재 총 1만 7414가구에 3만 5144명[남자 1만 7144명, 여자 1만 8071명, 외국인 제외]이다. 서구 중리동·평리동·비산동, 중구 동산동·대신동, 달서구 두류동·감삼동 등지와 경계를 이룬다. 내당동의 서쪽은 당산로, 북쪽은 평리로, 서쪽은 달서로와 큰장로가 통과한다. 남쪽은 대구 동서 최대 간선도로인 달구벌대로와 지하철 2호선[반고개역, 두류역, 내당역, 감삼역]이 내당동 가운데를 남북으로 통과하는 서대구로와 두류역에서 만나고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요 공공시설로는 달성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경운중학교, 대구경운초등학교, 대구내서초등학교, 대구두류초등학교가 있다. 동쪽에 황제공원, 서쪽에 감삼못공원이 있으며 곳곳에 소공원이 있어 지역 주민들의 힐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쪽의 반고개역 인근에 있는 반고개무침회골목은 1960년대 초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현재 10여 개 업소가 성업이다. 반고개무침회골목은 대구 10미(味) 중 하나로, 대구 시티투어 코스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