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742
한자 大邱 佳川洞 遺跡一
영어공식명칭 Daegu Gacheon-dong Yujeok1|Archaeological Site 1 in Gacheon-dong, Daegu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산11-17|가천동 산11-35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김병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 3월 30일~10월 8일 - 대구 가천동 유적1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소재지 대구 가천동 유적1 -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산11-17|산11-35지도보기
성격 고분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위치]

대구 가천동 유적1천을산[해발 156m]에서 서쪽의 가천동 마을로 뻗어 내린 능선 끝부분인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 산11-17, 산11-35 일대이다. 북쪽에는 가천동 고분군①과 가천동 고분군②, 동쪽으로 이어지는 언덕에는 가천동 유물산포지③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구 가천동 유적1대구-부산 간 고속도로 건설을 앞두고 영남문화재연구원이 2002년 3월 30일부터 2002년 10월 8일까지 진행한 5개 지구의 발굴 조사 중 제3지구에 해당하며, 삼국시대 덧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이 발굴되었다.

[형태]

대구 가천동 유적1에서 삼국시대 덧널무덤은 모두 24기 조사되었는데, 길이 3m 이내의 소형 덧널무덤이며, 덧널 양단에 유물을 같이 묻었다. 2호 묘에서는 두개골 흔적과 팔뼈, 다리뼈가 확인되었다. 목이나 귀에 착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목걸이[頸飾]와 곡옥이 동쪽 벽 가까이에서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묻힌 사람의 머리를 동쪽으로 하여 안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돌덧널무덤은 4기 조사되었는데, 1·2호는 하나의 주구(周溝)[무덤 주위를 둘러 판 도랑] 내에 2기의 돌덧널무덤이 조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출토 유물]

대구 가천동 유적1의 덧널무덤에서는 화로형토기[爐形土器], 짧은목항아리[短頸壺], 굽다리항아리[臺附壺], 입큰귀때단지[廣口小壺], 손잡이 달린 잔[把杯], 도끼[鐵斧], 투겁창[鐵鉾], 미늘쇠, 다면옥, 곡옥 등이 출토되었다. 돌덧널무덤에서는 뚜껑달린굽접시[有蓋高杯], 뚜껑[盖], 굽다리접시, 긴목항아리[長頸壺], 큰항아리, 손잡이잔[把手附杯], 연질발[軟質鉢], 가락바퀴[紡錘車], 그물추[漁網錘], 도끼, 투겁창, 미늘쇠, 화살촉[鐵鏃], 낫[鐵鎌]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황]

대구 가천동 유적1은 발굴 조사 후 대구-부산 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형질 변경이 이루어졌다. 조사 지역 동쪽의 능선으로는 가천동 유물산포지③이 이어져 있는데, 대구 가천동 유적1에서 확인된 삼국시대 덧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이 더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의와 평가]

대구 가천동 유적1에서는 삼국시대 덧널무덤과 돌덧널무덤이 함께 조사되었다. 대구 가천동 유적1을 통하여, 기존에 알려진 가천동 고분군의 분포 범위가 더욱 확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4세기부터 6세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무덤의 형태가 덧널무덤에서 돌덧널무덤으로 바뀌면서 조성되어 왔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