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764
한자 大邱 蘆邊洞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 산71|노변동 산3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민선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3월 15일~1995년 3월 15일 - 대구 시지지구개발지구 내 유적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9년 2월 1일~2000년 8월 28일 - 대구 노변동 고분군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소재지 대구 노변동 고분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 산3|산71 일대지도보기
성격 고분군
양식 덧널무덤[목곽묘]|돌덧널무덤[석곽묘]|돌방무덤[석실묘]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개설]

대구 노변동 고분군(大邱蘆邊洞古墳群)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이다. 1992년 3월 15일부터 1995년 3월 15일까지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고, 1999년 2월 1일부터 2000년 8월 28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위치]

대구 노변동 고분군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 산71·산3번지 일대에 있다. 경산에서 대구로 가는 국도를 따라가면 남쪽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구 대구 농림고등학교]가 나타난다. 대구 노변동 고분군은 자연과학고등학교의 교내 부지를 포함한 남북으로 긴 구릉지대에 해당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2년 3월 15일부터 1995년 3월 15일까지 대구시지지구개발지구 내 유적[욱수동 고분군 Ⅰ·Ⅱ]을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가 조사되었고, 그중 삼국시대 고분은 나무덧널무덤[목곽묘], 구덩이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 앞트기식돌덧널무덤[횡구식석곽묘], 돌방무덤[석실묘], 독무덤[옹관묘], 널무덤[토광묘] 등 492기가 조사되었다. 1999년 2월 1일부터 2000년 8월 28일까지 삼덕동-시지택지 간 도로건설구간 내 대구 노변동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를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진행하였다. 대구 노변동 유적에서는 삼국시대의 나무덧널무덤[목곽묘], 돌덧널무덤[석곽묘], 돌방무덤[석실묘], 옹관묘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사직단과 당집, 움무덤[토광묘] 등 총 788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형태]

대구 노변동 고분군 내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축조된 묘제는 나무덧널무덤이며,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게 분포하고 있다. 묘광 내에 목곽만 설치한 순수 나무덧널무덤과 묘광과 목곽 사이의 빈 공간을 천석, 할석, 사질점토 등으로 충전하거나 석곽의 벽석처럼 채워진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가 확인된다. 돌덧널무덤은 대구 노변동 고분군 내 대다수를 차지하는 묘제로 구덩식돌덧널무덤과 앞트기식돌덧널무덤이 확인된다. 돌방무덤은 돌덧널무덤 이후에 조성되는 늦은 시기의 무덤으로 대부분 평지에 분포한다. 돌방무덤은 널길[연도(羨道)]의 위치에 따라 좌편도, 우편도, 중앙연도로 구분되며, 하나의 돌방무덤 내에 추가장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 부장 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출토 유물]

대구 노변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은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목긴항아리, 곧은목항아리, 대부완, 금동관편, 귀걸이, 굽은옥, 다각형옥, 철낫, 철방울, 미늘쇠, 꺾쇠 등이다.

[현황]

대구 노변동 고분군은 현재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삼덕동-시지택지 간 도로가 건설되어 있고, 고분군 주변은 아파트 등이 건립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 노변동 고분군은 영남 지방에서 축조되고 있는 삼국시대 고분의 일반적인 축조 양상인 목곽묘에서 석곽묘, 석실묘의 단계로 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축조되고 있으며, 출토된 유물과 유구의 양상으로 보아 고분군은 4세기 중후반에서 7세기까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대구 노변동 고분군 주변에 조영된 생활 유적, 생산 유적 등과 함께 연구를 종합한다면 노변동 지역에 거주하였던 집단의 고대 생활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