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674
한자 玄風郭氏十二旌閭閣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동길 3[지리 1348-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동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3년 - 현풍곽씨십이정려각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5월 12일연표보기 - 현풍곽씨십이정려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현풍곽씨십이정려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재지 현풍곽씨십이정려각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동길 3[지리 1348-2]지도보기
성격 정려각
관련 인물 곽준|곽이상|곽이후|거창 신씨|포산 곽씨|곽결|곽호|곽청|곽의창|곽유창|광릉 이씨|밀성 박씨|안동 권씨|전의 이씨|곽경성
면적 818㎡
관리자 곽동후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리에 있는 현풍 곽씨 가문에 포상된 12기의 정려를 한 곳에 모아 놓은 정려각.

[개설]

현풍곽씨십이정려각은 1598년(선조 31)부터 영조 때까지 솔례 마을의 현풍곽씨 일문(一門)에 포상된 12기의 정려를 한 곳에 모아 놓은 정려각이다. 정려가 내릴 때마다 별도로 정려각을 세우던 것을 1725년(영조 1) 이후 현재의 자리 한 곳에 모아 세웠다고 한다. 6·25 전쟁 때 건물 일부가 파괴되고 비석 1기가 완파되었으나, 1963년에 모두 다시 고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로 정려를 받게 된 사유는 다음과 같다.

1. 임진왜란 때 안음 현감 곽준이 황석산성에서 두 아들과 같이 전사하게 되자 며느리와 출가한 딸이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기에 선조가 정려했다.

2. 곽재훈[망우당 곽재우의 종제]의 아들 곽결·곽청·곽형·곽호 네 형제가 임진왜란 때 병환 중의 부친을 왜적으로부터 죽음으로 호위하였기에 선조가 정려했다.

3. 소계 곽주의 두 아들 곽의창·곽유창은 어릴 적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이들 형제는 부모가 죽자 식음을 전폐하는 등 마지막까지 그 효를 다하였는데, 이에 마을 사람들이 감동하였다. 이러한 사실이 조정에까지 전해져서 형제 모두를 장원서 별감으로 증직하고 정려가 내려졌다.

4. 곽재기의 부인 광주 이씨임진왜란 때 왜병을 만나자 순결을 지키기 위해 투신 익사하였기에 선조가 정려했다.

5. 곽홍원의 부인 밀양 박씨박성의 딸인데, 강도가 들어와 남편을 해치려 하자 대신 죽음으로써 남편을 옹호하였기에 현종이 정려했다.

6. 곽수형의 부인 안동 권씨는 결혼 후 1년도 못 되어 남편이 병으로 위독하게 되자 대신 죽기를 주야로 기원했으나 소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남편을 잃게 되자, 식음을 전폐하여 따라 죽게 되니 현종이 정려했다.

7. 곽내용의 부인 전의 이씨는 남편이 일찍 죽자 시부모 때문에 자결하지 못하고, 시부모를 지극히 모신 후 시부모가 죽자 남편을 따라 식음을 전폐하고 자진하였다.

[위치]

현풍곽씨십이정려각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동길 3에 위치하고 있다. 현풍 나들목 교차로에서 구지면 방향으로 조금 가다 보면 도로 우측에 용흥지가 나타난다. 정려각은 용흥지의 서쪽에 위치하며, 정면은 동남쪽이다.

[형태]

건물은 정면 12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꾸몄다. 정려각 안에는 2기의 비석과 10개의 현판이 있으며, 1문과 5문, 6문 앞쪽에는 각각 ‘일문삼강(一門三剛)’, ‘사효자려(四孝子閭)’, ‘양효자려(兩孝子閭)’의 현판이 있다.

왼쪽부터 효자 처사 포산 곽공지비(孝子處士苞山郭公之碑)[곽경성(郭景星)], 조선국 효자 처사 곽공지비(朝鮮國孝子處士郭公之碑)[곽의창(郭宜昌)], 열부 학생 곽내용 처 유인 전의 이씨지려(烈婦學生郭乃鎔妻孺人全義李氏之閭), 열부 학생 곽수형 처 유인 안동 권씨지려(烈婦學生郭壽亨妻孺人安東權氏之閭), 열부 학생 곽홍원 처 유인 밀성 박씨지려(烈婦學生郭弘垣妻孺人密城朴氏之閭), 절부 계공랑 곽재기 처 유인 광릉 이씨지려(節婦啓功郎郭再祺妻孺人廣陵李氏之閭), 효자 증 별검 곽의창 곽유창지려(孝子贈別檢郭宜昌郭愈昌之閭), 효자 유학 곽결 곽호 곽청지려(孝子幼學郭潔郭浩郭淸之閭), 열부 학생 유문호 처 유인 포산 곽씨지려(烈婦學生柳文虎妻孺人苞山郭氏之閭), 열부 증 정랑 곽이상 처 공인 거창 신씨지려(烈婦贈正郎郭履常妻恭人居昌愼氏之閭), 효자 증 호조 정랑 곽이상 곽이후지려(孝子贈戶曹正郎郭履常郭履厚之閭), 충신 증이조 판서 행안음 현감 충렬공 곽월지려(忠臣贈吏曹判書行安陰縣監忠烈公郭䞭之閭)의 비와 현판이 있다.

효자 처사 포산 곽공지비는 비좌 위에 비신과 옥개형(屋蓋形)의 개석을 올렸다. 규모는 총고 190㎝이고, 현비좌 높이 15㎝, 길이 76㎝, 너비 49㎝이며, 비신 높이 130㎝, 너비 49㎝, 두께 22㎝이다.

조선국 효자 처사 곽공지비는 귀부 위에 비신과 이수를 올렸다. 규모는 비신 높이 138㎝, 너비 53.5㎝, 두께 23㎝이다.

열부 학생 곽내용 처 유인 전의 이씨지려, 열부 학생 곽수형 처 유인 안동 권씨지려, 열부 학생 곽홍원 처 유인 밀성 박씨지려, 절부 계공랑 곽재기 처 유인 광릉 이씨지려, 효자 증 별검 곽의창 곽유창지려, 효자 유학 곽결 곽호 곽청지려, 열부 학생 유문호 처 유인 포산 곽씨지려, 열부 증 정랑 곽이상 처 공인 거창 신씨지려, 효자 증 호조 정랑 곽이상 곽이후지려, 충신 증 이조 판서 행 안음 현감 충렬공 곽월지려 등은 길이 159㎝, 폭 40㎝의 정려 현판이 있다. 전면에 정려문과 좌측에 관련 사적이 있는 것과 정려문만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금석문과 정려문]

1. 곽처사 효자비

앞면에 ‘효자 처사 포산 곽공지비(孝子處士苞山郭公之碑)’라 쓰여 있다. 뒷면에는 비문 끝에 “창산(昌山) 조긍섭(曺兢燮)[1873~1933] 찬(撰), 포산(苞山) 곽종찬(郭鍾贊) 서(書)”라 쓰여 있다. 오른쪽 면에는 비명 끝에 “단기사천이백구십칠년갑진하개수(檀紀四千二百九十七年甲辰夏改竪)[1964], 방예손(傍裔孫) 종천(鍾千) 근지(謹識), 성산(星山) 여상한(呂相韓) 근서(謹書)”라고 되어 있다.

2. 곽처사 효자비

전면 전액에 ‘효자 처사 곽공지비(孝子處士郭公之碑)’라 쓰여 있다. 비의 전면 오른쪽에는 ‘조선국 효자 처사 곽공지비(朝鮮國孝子處士郭公之碑)’라 쓰여 있고, 전면 중앙에 “전적(典籍) 곽용(郭瀜)[1600~?] 찬(撰), 진사(進士) 곽재일(郭在一) 전(篆), 유학(幼學) 곽재삼(郭在三) 서(書)”라 적혀 있다. 오른쪽 면에는 “공몰후삼백일십팔년갑진구월일(公歿後三百一十八年甲辰九月日) 방예(傍裔) 창승(昌承) 근지(謹識), 성산(星山) 여상한(呂相韓) 근서(謹書), 은진(恩津) 송우용(宋友用) 전(篆)”이라 쓰여 있다.

3. 전의 이씨 정려

전면에 ‘열부 학생 곽내용 처 유인 전의 이씨지려(烈婦學生郭乃鎔妻孺人全義李氏之閭)’라 쓰여 있고, 그 좌측에는 “성혼육삭부사(成婚六朔夫死) 불식자진유절(不食自盡有絶) 명사유전우세(命詞流傳于世) 사문명정려(事聞命旌閭)”라고 적혀 있다.

4. 안동 권씨 정려

전면에 ‘열부 학생 곽수형 처 유인 안동 권씨지려(烈婦學生郭壽亨妻孺人安東權氏之閭)’라 되어 있고, 그 왼쪽에 “부몰불음작수(夫歿不飮勺水) 자액사사(自縊死事) 문명정려(聞命旌閭)”라 적혀 있다.

5. 밀성 박씨 정려

전면에 ‘열부 학생 곽홍원 처 유인 밀성 박씨지려(烈婦學生郭弘垣妻孺人密城朴氏之閭)’라 쓰여 있다. 그 왼쪽에 “세재순치갑인칠월이십(歲在順治甲申七月二十)[1644] 오일야반화적입가내해(五日夜半火賊入家內害) 장급무수도간폐피창무(將及夫随刀桿蔽被創無) 무친족취관즉구중유성(數親族聚觀則口中有聲) 왈득제소천오사무감의(曰得濟所天吳死無憾矣) 언흘이절사(言訖而絶事) 문우조명정려(聞于朝命旌閭) 사재신해구월일(事在辛亥九月日)”이라 적혀 있다.

6. 광릉 이씨 정려

전면에 ‘절부 계공랑 곽재기 처 유인 광릉 이씨지려(節婦啓功郎郭再祺妻孺人廣陵李氏之閭)’라고 적혀 있다. 그 왼쪽에는 “만력임진왜란우적투수이사사문정려(萬曆壬辰倭亂遇賊投水而死事聞旌閭)”라 쓰여 있다.

7. 곽의창·곽유창 정려

전면에 ‘효자 증 별검 곽의창 곽유창지려(孝子贈別檢郭宜昌郭愈昌之閭)’라 쓰여 있고, 그 왼쪽에 “의창오세복부상(宜昌五歲服父喪) 여성인유창칠세(如成人愈昌七歲) 세복여형참봉공(稅服與兄叅奉公) 이창우애미독사(以昌友愛彌篤事) 모진성인칭천효(母盡誠人稱天孝) 세정축향인수갈(歲丁丑鄕人竪碣) 우촌전기묘사(于村前己卯事) 문구증별검정려(聞俱贈別檢旌閭)”라 적혀 있다.

8. 곽결·곽호·곽청 정려

전면에 ‘효자 유학 곽결 곽호 곽청지려(孝子幼學郭潔郭浩郭淸之閭)’라 적혀 있다. 그 왼쪽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임진왜란봉부모피(壬辰倭亂奉父母避) 닉적졸지형제사인(匿賊猝至兄弟四人) 모백도사지적의지(冒白刀死之賊義之) 사기부모거사(舍其父母去事) 문정려제사자형(聞旌閭第四子泂) 불여언이해조일기명야(不與焉以該曹逸其名也) 여상람삼강록(余嘗覽三綱錄) 유곽씨사형제위(有郭氏四兄弟爲) 부사적불각차탄급(父死賊不覺嗟嘆及) 리차읍시지자(莅此邑始知自) 조가명정이제사자형(朝家命旌而第四子泂) 독루언개이해조일(獨漏焉盖以該曹逸) 기명고불게운가승(其名故不揭云可勝) 석재(惜哉) 숭정기원후(崇禎紀元後) 기미오월일(己未五月日) 현감(縣監) 조진태(趙鎭泰)”라 적혀 있다. 기미년은 1679년이다.

9. 포산 곽씨 정려

전면에 ‘열부 학생 유문호 처 유인 포산 곽씨지려(烈婦學生柳文虎妻孺人苞山郭氏之閭)’라 적혀 있다.

10. 거창 신씨 정려

전면에 ‘열부 증정랑 곽이상 처 공인 거창 신씨지려(烈婦贈正郎郭履常妻恭人居昌愼氏之閭)’라 적혀 있다.

11. 곽이상·곽이후 정려

전면에 ‘효자 증호조 정랑 곽이상 곽이후지려(孝子贈戶曹正郎郭履常郭履厚之閭)’라 적혀 있다.

12. 곽월 정려

전면에 ‘충신 증이조 판서 행안음 현감 충렬공 곽월지려(忠臣贈吏曹判書行安陰縣監忠烈公郭䞭之閭)’라 적혀 있다.

[의의와 평가]

현풍곽씨십이정려각은 건물과 현판은 최근 것이나 그 유례가 흔치 않은 것이므로 중요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