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901
한자 大德山城
이칭/별칭 앞산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227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
집필자 민선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8년 5월 30일연표보기 - 대덕산성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
현 소재지 대덕산성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224|산226|산227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포곡식
크기(높이,길이,둘레) 약 3㎞[길이]|1.5~2m[잔존 높이]
관리자 대구광역시 남구청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기념물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대덕산에 있는 삼국시대 후기부터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된 산성.

[개설]

대덕산성(大德山城)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대덕산에 있는 포곡식 산성이다. 정확한 축조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성곽의 위치와 규모, 성 내부에서 출토되는 토기편과 기와편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 후기 또는 통일신라 때에 축조되었으며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위치와 지형으로 볼 때 방어의 기능보다는 도피의 기능이 강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덕산앞산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대덕산성을 ‘앞산산성’이라고도 부른다.

[건립 경위]

927년(고려 태조10) 태조 왕건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후백제 견훤에게 패하여 대덕산 은적사(隱寂寺)에 머물렀다는 이야기로 보아 대덕산성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832년 편찬된 『대구읍지』의 「고적조」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통하여 볼 때 대덕산성은 조선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성의 둘레는 3,051척[약 925m]이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대덕산성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224번지, 산226번지, 산227번지 일대의 대덕산(大德山)[580m] 북쪽 정상에서 ‘안지랭이’ 계곡을 포함한 곳에 있다. 대덕산은 대구분지의 남쪽에 있으며, 산의 정상에서는 북쪽으로 펼쳐진 대구분지 전역을 내려다볼 수 있다. 대구광역시 남구의 대명동봉덕동, 수성구 파동과 달서구의 송현동 일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앞산이라고도 불린다. 동남쪽으로는 산성산비슬산으로 이어지고 서북쪽은 멀리 낙동강금호강의 충적평야와 접한다.

[형태]

대덕산성은 안지랭이 계곡을 끼고 좌우 능선을 감싼 형태로 축조된 포곡식산성(包谷式山城)으로 성곽의 길이는 3㎞ 정도로 비교적 규모가 큰 대형산성이다. 성벽은 대부분 가파른 자연 암반을 최대한 이용하였으며, 산의 능선과 비탈 부근의 접근이 용이한 지형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하였다. 성벽의 잔존 높이는 1.5~2m 정도이며, 대덕산 정상과 양 능선을 따라 일부 확인된다.

[현황]

대덕산성은 망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최정상의 구릉에 현재 송신탑이 세워져 있고, 다른 능선으로 이어지는 구릉은 헬기장 또는 바닥에 암괴가 그대로 노출되어 성 내부에 활용 가능한 공간은 많지 않다. 또한 성 안쪽의 계곡도 급경사면이어서 건물지가 조성되기 어려운 지형으로 현재 확인되는 유일한 건물지는 계곡 끝자락과 마주하는 곳에 있는 안일암(安逸庵)이다.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대덕산성은 거의 훼손되어 대덕산 정상과 양 능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성벽이 확인된다.

[의의와 평가]

대덕산성은 대구분지 외곽에 있는 산성으로 삼국시대 후기 또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이용된 피신하기 위한 산성으로 추정된다. 대구분지 내에 있는 삼국시대 달성토성과 함께 삼국시대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