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880
한자 李始榮
영어공식명칭 Lee Siyeong
이칭/별칭 이시영(李時榮),중현(仲賢),우재(又齋)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2년 1월 10일연표보기 - 이시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3년~1915년 - 이시영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회[일명 재건달성친목회] 결성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 이시영 서울에서 3·1운동 참여한 뒤 중국으로 망명
몰년 시기/일시 1919년 7월 9일연표보기 - 이시영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 6월 17일 - 대구 앞산공운에 우재 이시영선생 순국 기념탑 건립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시영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봉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중국 - 중국
성격 대구 및 만주 독립운동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조선국권회복단[일명 재건 달성친목회] 교통부장, 흥업단 특파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시영(李始榮)[1882~1919]은 1882년 1월 10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서 태어났다. 대구에서 항일 비밀결사 재건 달성친목회[조선국권회복단] 결성에 참여하여 교통부장을 맡았고, 서울에서 3·1운동에 참가한 뒤 중국으로 망명하여 흥업단(興業團) 특파원으로 활동하였다. 이시영(李時榮)으로도 알려졌다.

[가계]

이시영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중현(仲賢), 호는 우재(又齋)이다. 아버지는 이관준(李寬俊)이다.

[활동 사항]

이시영은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 한학(漢學)을 배웠으며, 시서화(詩書畵)에 능하였다. 1910년 8월 대한제국이 멸망한 뒤 대구에서 포목상을 경영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비축하였다. 1914년 다액의 자금을 휴대하고 중국 동북지방으로 건너가 동지들과 연계하는 등 독립운동을 모색하다가 귀국하였다. 이후 독립전쟁론에 입각한 적극적 무장투쟁을 주장하며 국내외를 왕래하며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1915년 2월 20일[음력 1월 15일] 이시영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홍주일(洪宙一) 등과 함께 대구 안일암(安逸庵)에서 시회(詩會)를 가장하여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회[재건 달성친목회]를 결성하고 교통부장의 중책을 맡아 활동하였다. 이후 대구와 경상도 일대에서 독립운동 자금 조달과 국내외 비밀 연락 등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1916년 말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의 군자금 모집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917년 6월 징역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시영은 서울을 왕래하다가 1919년 3월 만세 시위에 참여한 직후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중국 동북지방으로 망명하였고, 압록강 하류의 안둥현[安東縣]과 서간도 지방 류허현[柳河縣] 산위안바오[三源堡] 등지를 왕래하며 항일투쟁을 지속하였다. 1919년 중반 지린성[吉林省] 푸쑹현[撫松縣]에서 독립운동 단체 흥업단에 가담하였다. 이시영흥업단 단장 김호(金虎)[일명 김호익(金虎翼)]의 요청에 따라 이만준(李萬俊)과 함께 3·1운동 이후 중국 동북지방으로 망명하는 한인 청년 수백 명을 흥업단 산하의 백산[무관]학교 등에 보냈다. 이시영은 서간도 지역 독립운동 단체인 한족회와 서로군정서 등을 왕래하며 국내외 연락과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고, 군사 인재 양성을 지원하는 등 독립운동에 기여하였다. 이시영은 1919년 7월 9일 류허현 산위안바오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시영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