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396 |
---|---|
한자 | 大邱 把溪寺 阿彌陀三尊圖 |
영어공식명칭 | Amitabha Buddha Triad of Pagyesa Temple, Daegu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고소진 |
제작 시기/일시 | 1824년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제작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5년 5월 11일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7] |
원소재지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7] |
성격 | 불화 |
작가 | 체균|관보|금겸|두천 |
소유자 | 파계사 |
관리자 | 파계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에 위치한 파계사에 있는 1824년 제작된 탱화.
[개설]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는 검은색 바탕 위에 금니로 그림을 그린 묵탱(墨幀)으로 화면 하단에 정확한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화기」가 남아 있어 1824년(순조 24) 체균(体均), 관보(琯普), 금겸(錦謙), 두천(斗天)이 제작하였음이 밝혀졌다.
[형태 및 구성]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는 아미타불, 관세음, 대세지보살, 아난, 가섭 즉 오존(五尊)이 등장한다. 아난존자는 머리가 검고 수염이 없는 젊은이의 모습을 하고 있고, 가섭존자는 머리 숱이 없고 눈썹이 하얀 늙은이로 묘사하였다. 다섯 인물의 배경에는 구름 문양을 그려넣었다.
[특징]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는 19세기 불화 전형적인 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전 시기 불화에는 많은 수의 보살 및 존자를 하나의 화면에 표현하는 방식이었다면, 19세기에는 불교 권속의 수를 줄여 간략하게 표현하는 방식이 유행하였다.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에 나오는 보살들의 신체 비례, 의복 표현, 개성적인 얼굴 표정 등 역시 19세기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는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