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해동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328
한자 海東地圖
영어공식명칭 Haedong Jido Map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추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50년대연표보기 - 해동지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동지도 보물로 재지정
현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첩
서체/기법 회화식 지도|채색 필사본
소유자 국유
관리자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의 옛 지명인 당진현이 포함된 회화식 지도첩.

[개설]

1750년대(영조 연간)에 작성된 도별 읍지를 모은 『여지도서(輿地圖書)』와 제작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총 8책 중 제2책에 「당진현 지도」와 「면천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크기는 가로 35.7㎝, 세로 47.0㎝이며, 총 8책의 채색 필사본이다. 지도의 위쪽이 동쪽인 동상 방위(東上方位)의 지도이다.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 전도」·「관서 전도」, 제3책 「관동 전도」·「북관 전도」, 제4책 「서북 피아 양계 전도」, 제5책 「영남 전도」, 제6책 「호서 전도」, 제7책 「호남 전도」, 제8책 「팔도 총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총 8책으로 이루어진 해동지도는 전국의 모든 군현의 지도를 수록하였을 뿐 아니라 조선 전도, 서북 지방 관방도, 조선과 중국을 이어 그린 요계 관방도, 천하도, 중국 지도, 일본 지도, 유구 지도 등 당시까지 전해 오던 주요 지도들을 총 망라하여 정리한 지도첩이다. 군현 지도에는 산천·읍성·읍치의 주요 기구, 면·향교·서원·도로·강계·사찰·누정 등이 표현되어 있다. 지도의 여백을 이용하여 주기를 기록하였다. 주기에는 서울로부터 거리, 성곽의 크기, 사방 강계, 면, 인구, 전답, 곡물 총수, 군병 총수, 봉수, 고적, 연혁 , 산천, 산성, 관방, 역원, 군명, 불우, 정사, 서원, 토산, 창고 등 지지적인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풍부한 지리적 내용을 담고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해동지도 제2책에는 「면천현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데, 면천군이 면천현으로 기록되어 있다. 면천현 지도는 위쪽이 하천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면천읍성과 4개의 문이 분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다른 지역과 연결되는 주요 도로는 동문과 남문을 지나고 있다. 지도의 좌측 상단 여백에 첨지를 붙여 지도를 수정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당진 경계의 하천·태봉(胎峯)·배치(排峙)·화치(火峙) 등이 비변사(備邊司) 지도에는 있으나 이 지도에 없기 때문에 그려 넣었다고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비변사에서 소장하던 지도와 비교하여 지도를 수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중엽 전환기를 맞는 조선의 지도 발달사에서 해동지도는 조선 전기의 지도 유형으로부터 조선 후기의 진전된 형태로 전환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해동지도는 단순히 우리나라의 군현도를 모아 놓은 것만이 아니고 주요 관방도와 중국·일본·유구국을 포함하고 있어 더욱 의의가 있다. 비슷한 사본이 여러 질이 있기는 하나 대부분이 완질이 아니며,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된 지도가 유일한 완질본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