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날 정릉에 제사하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951
한자 寒食祀靖陵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100길 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9년 - 허균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18년 - 허균 사망
배경 지역 정릉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100길 1[삼성동 131]지도보기
성격 한시|오언율시
작가 허균(許筠)[1569~1618]

[정의]

조선 중기 허균한식정릉에 제사하며 지은 한시.

[개설]

「한식날 정릉(靖陵)에 제사하다」허균(許筠)의 시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제2권에 수록되어 있다. 정릉은 조선조 중종(中宗)의 능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해 있다.

[구성]

「한식날 정릉(靖陵)에 제사하다」는 오언율시로 구성되어 있다. 한식날 정릉에서 제사지내는 풍경을 잘 표현하였다.

[내용]

천사당한식(薦祀當寒食)[한식날을 당하여 제사 올리니]

형명주백신(馨明走百神)[형명하여 온갖 신이 분주하구려]

천향오경우(天香五更雨)[하늘 향기 오경의 저 비라면]

방초이릉춘(芳草二陵春)[방초는 이릉의 봄이구려]

운습송추암(雲濕松楸暗)[송추는 어둑해라 어둠이 졌고]

화영검리신(花迎劍履新)[검리를 맞이해라 꽃이 새롭네]

문원여갈령(文園如渴令)[문원에 소갈병 든 영(令)이 있으니]

당시한사신(倘是漢詞臣)[이는 혹시 한 나라 사신일는지]

[특징]

「한식날 정릉(靖陵)에 제사하다」는 제2구에 신(神), 제4구에 춘(春), 제6구에 신(新), 제8구에 신(臣)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한식날에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하고 민간에서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풍습이 있다. 「한식날 정릉(靖陵)에 제사하다」허균이 한식날 정릉에 제사지내며 느낀 감회를 읊은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