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3141 |
---|---|
한자 | 鄭氏家- |
영어의미역 | Jeong Family's Daughter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
집필자 | 장정룡 |
성격 | 설화 |
---|---|
관련지명 | 홍제동 대관령 국사여성황당 |
모티프 유형 | 호환설화 |
[정의]
정씨가의 딸이 호랑이에게 물려가 대관령국사성황신의 배필이 되었다는 전설.
[개설]
대관령국사여성황신이 된 정씨는 동래부사를 역임한 정현덕(鄭顯德)[1810~1883]의 딸로 보인다. 정현덕의 본관은 동래, 자는 백순(伯純), 호는 우전(雨田)이다. 정현덕은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고종 초에 서장관으로 정사 서형순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왔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동래부사가 되어 일본과의 교섭을 담당하였다. 그 뒤 이조참의가 되었다가 대원군이 실각하여 민씨 척족정권에 의해 파면되어 유배되었으며,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 대원군이 재집권하자 형조참판으로 기용되었다. 대원군이 물러나자 원악도로 유배된 뒤에 사사(賜死)되었다. 정현덕은 『조선근대명가시초(朝鮮近代名家詩抄)』에 칠언절구 13수, 배율 65수가 등재될 정도로 뛰어난 시인이었으며 강릉[명주]에 머물면서 쓴 시가 남아 있다.
일설에는 초계정씨 경방파는 현재의 남문동에 살았는데, 조선 숙종 무렵 종손인 정규완의 10대 고모가 황수징과 혼례식을 올렸으나 시댁에 가지 않고 있었다고 한다. 오월 단오날 대관령에 봉안되어 있는 국사성황님 행렬을 저녁에 담 위에서 보고 있다가 호랑이에게 업혀갔다고 한다. 가족과 많은 사람들이 수색한 끝에 대관령 국사성황당에서 모발하나 흐트러진 것이 없는 상태의 시신을 발견하고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산 303번지에 있는 생모 안동권씨 묘계절하에 안장하였으며 세인들은 대관령국사성황신과 천상배필이라고 말해오고 있다.
[채록/수집상황]
대관령국사여성황신이 정씨가의 딸로 밝혀진 것은 1966년의 『강릉단오제 무형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이다. 당시 자료에는 옛날이라고만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대가 밝혀지지 않았고 정현덕의 한자명도 ‘鄭賢德’이라 하였다. 시기가 정확하지 않으나 정씨가의 딸이 호환을 당한 이야기는 정씨 가문의 전승기록에도 나타나므로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강릉단오제 무형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강릉현 최돈목 씨 네에 동래정씨인 정현덕 네가 살고 있었다. 그 집에 과년한 딸이 있었는데 하루는 꿈에 대관령성황신이 나타나 정씨 집에 장가들기를 간청했다. 그러나 사람 아니 성황을 사위 삼을 수 없노라고 거절했다.
어느 날 정씨가의 딸이 노란 저고리에 치마를 입고 단장하고 뒷마루에 앉아 있었는데 범이 와서 업고 달아났다. 소녀를 업고 간 범은 산신이 보낸 사자로서 분부를 받고 온 것으로, 대관령국사성황은 소녀를 데려다가 아내를 삼은 것이다. 범에게 물려 간 것을 안 정씨 집에서 국사성황을 찾아가 보니, 성황과 함께 서 있는데 벌써 죽어 정신은 없고 몸만 비석처럼 서 있었다. 가족들이 화공을 불러 화상을 그려 세우니 처녀의 몸이 비로소 떨어졌다고 한다. 호랑이가 처녀를 데려다 혼배한 날이 4월 15일이다.”
[모티브 분석]
호환설화로서 사후에 대관령국사성황신과 음력 4월 15일 혼배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날을 기해 강릉단오제는 대관령국사성황신의 영신제를 거행하고 있으며, 홍제동 국사여성황사에 성황신을 함께 봉안합사하고 있다. 두 신격이 대관령과 강릉 홍제동에 서로 떨어져 있다가 한 해에 한 번 만나는 상봉구조를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정씨가의 딸」 설화는 강릉단오제의 주신격인으로 범일국사를 대관령국사성황신으로 봉안하고 있는데, 그의 부인이 된 인물설화이다. 정씨 처녀가 호랑이에게 물려갔으나 국사여성황신으로 신봉된 사례담이다. 『강릉단오제 무형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에는 정현덕의 꿈에 성황신이 나타나 장가를 들겠다고 했으나 거절하자 호랑이가 강제로 처녀를 데려다가 아내를 삼았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이 설화의 발생근거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정현덕은 실존인물로 강릉과 관련이 있으므로 호환설화의 변이형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