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1963 |
---|---|
한자 | 阿度和尙事蹟碑-桃李寺佛糧畓施主秩碑 |
영어의미역 | Monument of Buddhist Priest Ado and Stone Monument Written Donators of Buddhist Paddy Field at Dori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산 20-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희돈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5년 12월 1일 - 아도화상사적비및도리사불량답시주질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1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아도화상사적비및도리사불량답시주질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기념비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중기 |
관련인물 | 아도화상 |
재질 | 자연석 |
높이 | 296㎝, 161㎝ |
너비 | 83.5㎝, 45㎝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산 20-1 |
소유자 | 도리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2기.
[건립경위]
아도화상 사적비는 아도화상이 고구려에서 신라로 와서 불교를 포교한 내력을 자세히 적은 비석이며, 도리사 불량답시주질비는 비슷한 시대에 도리사 신도들이 논과 밭을 시주한 내역을 담고 있는 비석이다. 1995년 12월 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아도화상 사적비는 도리사(桃李寺) 남쪽 비탈진 송림(松林) 속의 평평한 대지에 도리사 불량답시주질비와 함께 남쪽을 향해 나란히 세워져 있다.
[형태]
아도화상 사적비는 비석 높이 296㎝, 받침돌 가로 131㎝, 받침돌 세로78㎝, 받침돌 높이 31㎝, 비신 높이 197㎝, 폭 83.5㎝, 두께 24㎝, 이수 높이 69㎝, 제자경(題字徑) 10.8㎝, 비문자경(碑文字徑) 3㎝이다. 자연 암석을 받침돌로 삼았고 그 위에 장방형의 구멍을 파서 세웠으며, 이수는 앞면에 쌍룡을, 뒷면에 사룡을 조각하였고, 그 사이에는 운용(雲龍)을 각출하였다.
도리사 불량답시주질비는 비석 높이 161㎝, 폭 45㎝, 두께 24㎝, 덮개돌 높이 29㎝, 보주(寶珠) 높이 11㎝이다. 자연 암석을 받침돌로 삼았고, 상면에 장방형의 공(孔)을 파서 비신을 세웠으며, 덮개돌을 덮었다. 앞뒷면에는 태조선(太條線)으로 양각한 연봉과 줄기가 조식되었고, 좌우 측면에는 2단의 원조대(圓條帶)가 있으며, 정상 중앙에는 보주가 면각되었다.
[금석문]
아도화상 사적비의 남향한 비신의 표면에는 상부에 횡으로 ‘아도화상사적비(阿度和尙事蹟碑)’란 전자체(篆字體)의 제목이 있으며, 비문은 해서 종행(縱行)으로 첫줄에 ‘조선국경상도선산부냉산도리사아도화상사적비(朝鮮國慶尙道善山府冷山桃李寺阿度和尙事績碑)’라 전제(前題)하고 음각하였다. 이 비(碑)의 뒷면에는 ‘자운비(慈雲碑)’ 명이 음각되어 있다.
도리사 불량답시주질비의 비문은 화강석을 갈아서 앞뒷면에 음각(陰刻)하였는데, 해서체로 가로 쓰기를 하여 초두에 ‘도리사불량답시주질(桃李寺佛糧沓施主秩)’이라 하고 도리사에 불량답(佛糧沓)을 시사(施捨)한 시주와 전답량(田畓量)을 결부(結負)와 두락(斗落)으로 병기하였다.
[현황]
두 비석은 건립 연대상 17세기 중엽, 또는 18세기 초에 해당한다. 비석의 역사적 의미와 비문의 내용 및 비석의 조각 등을 고려할 때 충분한 역사적 가치가 있어 문화재로 지정하여 역사적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아도화상 사적비의 건립 연대는 자운비 말미에 ‘숭정즉위후이십팔년오월일립(崇禎卽位後二十八年五月日立)’이라 하였으므로 1655년(효종 6)에 세운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과 정영호의 조사에서는 아도화상 사적비 문(文)의 후미에 “아도소종도유남북지찬년영고자력천여재급숭정병자쇠췌월사년사묘(인조 17, 1639)양지구고언(阿度所種桃有南北枝贊年榮枯者歷千餘載及崇禎丙子衰悴越四年巳卯兩枝俱枯焉)”이라는 기록이 있어, 이 비의 건립 연대를 1639년(인조 17)으로 잡은 것은 오류인 것 같다.
도리사 불량답시주질비의 비문 서쪽 측면 끝에 ‘강희오십일년임진십이월승통능철석수김성원(康熙五十一年壬辰十二月僧統能哲石手金成元)’의 명문(銘文)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12년(숙종 38)에 승통 능철(能哲)의 주관 아래 석수 김성원(金成元)의 각자(刻字)로 입비(立碑)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