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318
한자 -白鷺
영어의미역 Little Egret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조류|여름새
학명 Egretta garzetta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추동물문〉조강〉황새목〉왜가릿과
서식지 논가|연못|습지
크기 60㎝[몸길이]|24~28㎝[날개 길이]|8~11㎝[꼬리 길이]
새끼[알] 낳는 시기 4~8월

[정의]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왜가릿과에 속하는 조류.

[개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았던 여름새이다. 그러나 최근 월동지로 이동하지 않고 전국 각지에 머무르며 겨울을 나는 등 서식형 개체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백로 무리 중 체구가 가장 작다. 그래서인지 영명이 little egret이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타이완, 하이난 섬, 인도차이나, 미얀마, 인도, 유럽 남쪽,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섬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방축리, 경기도 강화군 비무장지대의 무인도, 강원도 양양군과 현남면 포매리 등지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

몸길이는 약 60㎝로 다른 백로류에 비해 몸이 작아 쉽게 구별되며, 특히 발가락이 노란색이다. 날개 길이는 24~28㎝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8~11㎝에 이른다. 수컷은 겨울에 눈앞의 나출부가 녹회색을 띠거나 검은 반점이 섞인 개체도 있다. 깃털은 부위를 막론하고 대부분 순백색이다. 짝짓기가 시작되면 윗목 부분에 두 가닥의 장식깃[飾羽]이 생겨나 한층 멋을 더한다. 이 깃털은 여름 깃과 동일한 장식깃으로 길이는 17㎝ 정도에 이른다. 뒷머리에는 장식깃이 없다.

어깨 부위에서 생겨나는 장식깃은 짧고 작으며 길이도 여름 깃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지만 구조는 여름 깃과 같다. 여름 깃은 1~4월 사이에 털갈이를 통해 만들어진다. 꼬리 깃은 모두 1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짧고 모가 난 꼬리를 형성한다. 부리와 다리는 겨울철이나 여름철이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전체적인 형상으로 암수를 구별하는 일은 쉽지 않다. 번식기에는 눈 앞쪽이 붉어지는 것이 큰 특징이다.

[생태 및 사육법]

마을의 뒷산이나 잘 우거진 침엽수 또는 활엽수림의 수관부에 10~20마리 또는 40~50마리씩 무리 지어 살며, 중대백로나 황로 또는 왜가리와 섞여서 번식하는 것을 즐긴다. 이들과 같이 있으면서 발생시키는 울음소리나 보여 주는 행동이 거의 비슷하여 구별이 어려울 정도이다. 한 번 둥지를 틀면 반복적으로 찾아와 번식한다. 4월 하순~8월 상순에 한번에 3~5개의 알을 낳아 3주[평균 23일] 정도 품는다.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품는 기간과 비슷한 25~30일이며, 부화한 어린 새끼들은 깃털이 아닌 흰 솜털로 덮여 있다.

먹이로는 물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고기, 개구리, 작은 뱀, 민물새우, 계곡이나 웅덩이에서 잡히는 가재 및 물속 또는 수면과 대기가 마주치는 바위 면으로 이동한 우화를 준비하는 수생 곤충 따위를 잡아먹는다. 포란 및 번식 기간 내내 둥지 밖으로 배설물을 길게 쏘다시피 배출하기 때문에 주변의 식생에 큰 해를 입혀 회복 불능으로 치닫게 만든다. 이는 뱀을 포함한 자신들의 서식처를 위협할 수 있는 천적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자 무기인 셈이다.

실제 왜가리, 백로류가 집단으로 번식한 곳에서는 파충류를 포함한 개과 고양잇과 동물의 침입은 쉽게 발견되지 않으며 비행으로 먹이 활동을 하는 맹금류는 종종 등장한다. 그렇다 해도 다른 어미 새들의 집단적인 반응으로 사냥은 결코 쉽지 않다. 다만 수관 상층부 비교적 높은 곳에 둥지를 틀기 때문에 소란과 방어를 위한 날갯짓이나 저항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주의로 추락한 새끼 새들은 대부분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거나 폐사한다.

[현황]

광명시 일원에 산재한 논가와 의왕시, 안양시를 거쳐 흘러 내려온 안양천 주변, 애기능 어귀 저수지, 구름산 어귀, 가학산 주변, 광명시를 관통하는 고속도로 주변의 초지와 습지 및 저수지 부근에서는 비교적 쉽게 관찰된다. 특히 안양천 주변에서는 여름철이면 적지 않은 쇠백로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백로류와 달리 쇠백로는 개체 수가 그리 많지 않아 다수를 한꺼번에 관찰하는 일은 쉽지 않다. 종종 안터저수지에서도 방문하거나먹이 활동을 시도하는 경우가 관찰되기도 하나 오랜 시간 머무르지는 않는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9.01 관련 시청각 연결 삭제 사진이 쇠백로가 아니므로 관련시청각 연결 삭제
이용자 의견
1* 사진은 쇠백로가 아닌 거 같은데요.
  • 답변
  • 디지털광명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사진 확인 후 관련시청각 연결 삭제하였습니다. 수정증보 시 저작권 있는 사진을 확보하여 추가 게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8.3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