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0146 |
---|---|
한자 | 良甫面 |
영어음역 | Yangbo-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언 |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서양곡면(西良谷面)의 ‘양’자와 외횡보면(外橫甫面)의 ‘보’자를 따서 양보면(良甫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통일 신라 시대 신문왕이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정비하였을 때 청주(菁州)[오늘의 진주]의 한다사군(韓多沙郡)에 속한 외횡보면·서양곡면 지역이었고, 경덕왕이 한다사군을 하동군으로 개칭함에 따라 하동군 외횡보면·서양곡면 지역이 되었다. 조선 말까지 변화 없이 유지되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외횡보면의 북단동(北丹洞)·우동촌(于洞村)·하장암촌(下長岩村)[일명 아랫멸때심]·상장암촌(上長岩村)[일명 멸때심]·역촌(驛村)·시영촌(柴永村)·하쌍계촌(下雙溪村)·중쌍계촌(中雙溪村)·상쌍계촌(上雙溪村)·감당촌(甘棠村)·하성사촌(下聲寺村)·상서촌(上西村)·상동촌(上東村), 서양곡면의 구청천촌(舊靑川村)·신청천촌(新靑川村)·통정촌·봉곡촌(鳳谷村)·박달촌(朴達村)·성치촌(城峙村)·세곡촌(細谷村)·반계촌(磻溪村)·운산촌(雲山村)·지내촌(池內村)·상명석촌(上鳴石村)·진암촌(陣岩村)·모고리촌(毛古里村)·화촌(花村)이 통합되어 하동군 양보면 관할이 되었다.
[자연 환경]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으로 양보면 최북단에 있는 주산(主山) 중턱에서 발원한 지방 관리 하천인 주교천(舟橋川)이 8.8㎞ 남으로 흘러 이웃 고전면을 거쳐 섬진강으로 흘러들고, 주교천을 본류로 하는 인근 냇물들이 하천 양쪽 기슭에 펼쳐진 농지에 물을 공급한다. 농업용수가 풍부하고 지세가 완만하며 기온도 따뜻하여 예부터 삼재(三災)가 극히 적은 곳이다.
[현황]
양보면은 하동군 동남부에 자리 잡은 곳으로 군청 소재지인 하동읍에서 직선거리로 10㎞ 떨어져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34.41㎢이며, 2016년 6월 30일 현재 인구는 총 1,025세대에 2,010명[남자 970명, 여자 1,04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동쪽으로 진교면, 남쪽으로 고전면, 서쪽으로 횡천면, 북동쪽으로 북천면과 이웃한다. 장암리·감당리·우복리·통정리·박달리·지례리·운암리 등 7개 법정리와 28개 자연 마을[32개 반]을 관할하며, 면 소재지는 운암리이다.
남해고속도로가 면 소재지에서 4㎞ 떨어진 곳을 지나고, 경전선 철도는 이명터널[1,260m]을 거쳐 북천면으로 이어진다. 우복리에 있는 양보간이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횡천면·하동읍을 지나 전라남도 광양시로 이어지고, 동쪽으로는 북천면을 거쳐 경상남도 진주시로 이어진다. 또한 부산~목포를 잇는 국도 2호선이 감당리 원양(元良)을 지나면서 양보면 중앙부를 가로질러 북으로 이어지고, 지방도 1003호선이 횡천면으로 이어져 중산간지에 있는 작은 면임에도 사통오달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주산업은 농업으로 벼농사가 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완만한 산기슭에서는 밤이 많이 생산된다. 최근 축산업도 활발하여 약 4,000두의 한우 사육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문화 유적으로는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김중원(金重元)의 위패를 모신 경의사(景義祠)와 그 유물을 보관한 관어재(觀魚齋), 「운암 영당 고운 선생 영정」 및 「하동 운암리 최익현 영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