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059 |
---|---|
한자 | 華城市 |
영어공식명칭 | Hwaseong-s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아 |
[정의]
경기도의 서남부에 있는 시.
[개설]
화성시는 동경 126° 31′~127°09′, 북위 37°00′~37°17′에 위치하며, 한반도 중서부에 속하는 경기도의 서남해안을 끼고 있다. 육지로는 7개 시를 접하고 바다로는 서해의 평택항으로 충청남도와 경계가 되며 서쪽은 옹진군과 접하여 선감도, 대부도를 마주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이동읍, 남쪽으로는 오산시와 평택시 진위면·서탄면·청북읍·포승읍, 북쪽으로는 수원시·안산시·시흥시 수암동 및 용인시 기흥구와 경계를 접한다.
2021년 6월 기준 화성시의 행정구역은 4읍 9면 15동이며, 총 362,941세대 870,361명[남 452,263명, 여 418,098명]의 내국인과 35,576명[남 25,168명, 여 10,408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다.
[명칭유래]
화성(華城)은 1794년(정조 18) 정조가 수원부 읍치와 현륭원을 위호할 성곽의 터를 둘러보며 『장자(莊子)』「천지편(天地編)」에 나오는 ‘화인축성(華人祝聖)’이라는 고사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요임금 같은 성인이 다스리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화성’이라 이름 붙였다. 화성을 풍요의 고을로 만들어 여민동락(與民同樂), 즉 백성과 더불어 즐기겠다는 정조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생각된다.
[형성 및 변천]
화성시 일대에는 초기 국가 시대에 마한 54개 소국 중 원양, 모수, 상외 3개의 소국이 위치하였고, 고구려 시기에는 ‘당성’과 ‘매홀’로 편제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는 당은군[당성], 수성군[매홀]으로 개편되었으며,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당성군, 수주로 개편되었다.
1413년(태종 13) 남양도호부와 수원도호부가 설치되고, 1793년(정조 17) 수원도호부가 화성유수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남양군과 수원군으로 개편되었는데, 수원군의 9개 면이 남양군에 이속되었다. 1914년 남양군이 수원군으로 통합되었다.
1949년 8월 15일 화성군으로 개편되었고, 수원읍은 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1963년 태장면·안룡면의 일부가 수원시에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화성군 태안면으로 합면되었다. 1970년 수원시에 있던 화성군청사가 오산읍으로 신축 이전되었다. 1985년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하며 화성군은 2읍 15면이 되었다. 1989년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 분리되며 1읍 15면이 되었다.
1994년 태안읍 영통리 일원과 신리·망포리 일부가 수원시로, 반월면이 수원시·군포시·안산시로 분할·편입되며 1읍 14면이 되었다. 다음 해 남은 태안읍 신리와 망포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1998년 봉담면이 봉담읍으로 승격되며 2읍 13면이 되었다. 2000년 화성군청사 및 의회청사가 현재의 남양읍으로 신축 이전되었다.
2001년 3월 21일 화성군은 화성시로 승격되었으며 남양면이 남양동으로 전환되어 2읍 12면 1동이 되었고,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3년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하며 3읍 11면 1동이 되었다. 2006년 동부출장소가 5담당에서 5과 21담당으로 확대 개편되었고, 태안읍이 병점 1·2동, 진안동, 화산동 등 6개 동으로 분리되어 2읍 11면 7동이 되었다.
2007년 향남면이 향남읍으로 승격하고 동탄동이 분리되어 3읍 10면 8동이 되었다. 2008년과 2009년 동탄2동과 동탄3동이 이어서 설치되며 3읍 10면 10동이 되었다. 2010년 9월 27일 화성시의 인구는 5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14년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며 4읍 10면 9동이 되었다. 2015년 동탄4동이 설치되어 4읍 10면 10동이 되었다.
2018년 동탄면이 폐지되고, 동탄5동과 동탄6동 및 새솔동이 설치되어 4읍 9면 13동이 되었으며 동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19년 동탄7동과 동탄8동이 설치되며 4읍 9면 15동이 되었고, 화성시의 인구는 80만 명을 돌파하였다.
[자연환경]
화성시는 대체로 해발고도가 낮고 완만한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복이 완만한 편이다. 크게 강원도 북부에서 남남서로 이어지는 광주산맥과 차령산맥 사이의 서쪽 종부위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는 비교적 산세가 깊은 산지를 형성하고, 중앙은 저산성 구릉지대, 서쪽으로는 저평한 평야지대를 이루면서 서해로 이어진다.
전체 면적에서 해발고도 50m 미만이 528.48㎢로 76.8%를 차지하고 있다. 해발고도 50~100m가 17.7%, 100~200m가 5.4%이고, 200m 이상은 0.5%이다. 경사도 5% 미만이 전체의 52.6%, 5~15%가 15.8%, 15~25%는 13.8%이고, 25% 이상은 17.8%이다. 해발고도 50m 이하, 경사도 5% 이하는 송산면, 서신면, 우정읍, 장안면 등 서해안과 시화호 주변에 분포하며 해발고도 200m 이상, 경사도 25% 이상은 봉담읍과 비봉면, 팔탄면의 경계, 동탄동의 동쪽에 분포한다. 전체적으로 화성시는 동고서저의 지형이며 경기 서부 해안지대의 저평한 평야지대에 포함된다.
화성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경기육괴에 포함되며 선캄브리아기의 경기변성암복합체와 서산층군, 태안층에 속한 편암과 편마암류가 주요 암석이다. 편암류는 남서부 해안과 도서 대부분, 화강암질 편마암은 송산면, 마도면, 서신면 및 장안면 서부에 분포한다. 반상변정질 편마암은 매송면, 봉담읍 중서부 및 팔탄면 북부, 호상 편마암은 동탄동, 비봉면, 정남면, 양감면 동부, 화강편마암은 팔탄면 남부에 분포한다.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은 남양읍 남부 등 일부에 조금 분포한다.
충적층은 화성시 동부를 남류하는 황구지천과 오산천, 발안천을 따라 분포한다. 흔히 ‘갯벌’이라 부르는 해성퇴적층은 곶의 돌출부[Headland]와 만입부에 발달하였다. 화성시의 퇴적암류는 송산면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일대와 탄도 및 불도에 분포한다.
화성시는 우리나라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에 속한다. 화성시는 온난한 남부지방으로부터 대륙성의 북부지방으로 옮아가는 점이지대에 위치한다. 특히 수심이 얕고 내해성인 서해와 이어지고 지형상으로도 저평한 평야지대에 위치하여 겨울 기온이 연안을 따라 낮은 특색을 보인다.
서해의 경기만 남부 해역에 면하여 있는 화성시의 해안선 길이는 총 72.4㎞[육지부 해안선 54.9㎞, 도서부 해안선 17.5㎞]로 경기도 해안선 길이의 약 1/4 규모이다. 화성시의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남양반도와 조암반도가 돌출한 가운데 북쪽의 군자만, 중앙의 남양만과 그 지만(支灣)인 분양만, 남쪽의 아산만을 끼고 있다. 따라서 갯벌이 발달해 염전 조성과 수산양식뿐만 아니라 간척에도 적합하다.
화성시의 해안은 북부, 동부, 남부, 서부 해안 등으로 구분되며 각 해안마다 특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동부 및 남부 해안 일부에서는 헤드랜드[Headland]로 폐쇄된 구간을 따라 조류의 작용이 커서 갯벌이 성장하고 있다. 헤드랜드와 만입부 암석의 차이에 따라 해안지형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색이다.
서부 해안에서는 남북 방향의 구조선과 비교적 강한 연안류에 의해서 해식애가 발달하며 국지적으로 직선화된 경향이 나타난다. 북부 해안은 북서계절풍의 바람받이로 모래 해안이 주로 발달하였다.
화성시 해안의 평균 대조차는 8m에 달한다. 화성시 해안의 특징 중 하나는 밀물 때보다 유속이 빠른 썰물 때 연안에 유입된 물질의 확산이 크게 일어난다. 이러한 환경은 갯벌의 발달에 유리하다. 과거에는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였으나 현대에 들어 방조제 건설, 간척사업으로 해안 환경이 변화하여 크게 단순해졌다.
화성시에는 국가하천 2개소, 지방하천 23개소, 소하천 146개소 등이 있으며, 하천의 총 유로연장은 673.21㎞이다. 주요 하천은 국가하천인 황구지천과 지방하천인 발안천이 있다. 의왕시에서 발원한 황구지천은 호매실천, 원천천, 수원천 등 여러 하천을 받아들이며 수원시 권선구를 지나 진안동과 정남면으로 이어지고, 양감면 정문리에서 진위천으로 합류한다.
발안천은 황구지천과 달리 온전히 화성시 역만을 유역분지로 갖고 있으며 대체로 서남류하여 남양호로 흘러 들어간다. 발안천은 봉담읍 상기리에서 발원하여 팔탄면을 지나며 건달산 서쪽 기슭의 기천저수지와 동쪽 기슭의 덕우저수지에 농업용수를 채워 주고 철마산과 서학산 사이의 팔탄면 구장리와 서학산과 오두산 사이의 지월리를 거쳐 향남읍 발안리, 제암리, 둥구산과 신수산을 끼고 팔탄면 해창리와 장안면 수촌리를 거쳐 남양호로 흘러드는 바닷가의 산지 하천이다.
이외에 소하천으로는 동탄을 동서로 나누며 흐르는 오산천, 봉담읍 동화리에서 발원하여 매송면과 비봉면의 경계를 지나는 동화천, 매송면 북부의 반월천, 향남읍에서 발원하여 양감면을 지나는 관리천 등이 있다.
[현황]
2021년 1월 기준 화성시 면적은 698,194,446.3㎡로 경기도 내 자치단체 중 5번째로 넓은 면적은 차지한다. 도시기본계획상 방조제 건설로 형성된 간척지의 면적을 포함한 개발 가능 면적은 약 844㎢로 서울특별시의 1.4배에 해당하며, 경기도 시군 중에서 2위를 차지한다.
2021년 1월 지목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 75,058,631㎡, 답 144,985,378.6㎡, 과수원 1,654,257㎡, 목장용지 5,952,137.1㎡, 임야 222,629,750.4㎡, 염전 7,886,639㎡, 대지 50,184,972.5㎡, 공장용지 49,822,632.9㎡, 학교용지 3,484,992.5㎡, 주차장 875,982㎡, 주유소용지 462,982.2㎡, 창고용지 2,178,630.7㎡, 도로 44,442,080.8㎡, 철도용지 1,525,997㎡, 제방 3,103,500.5㎡, 하천 10,466,471.8㎡, 구거 14,514,777.1㎡, 유지 17,970,456.4㎡, 양어장 202,561.8㎡, 수도용지 226,639.7㎡, 공원 10,837,066.2㎡, 체육용지 7,353,735.5㎡, 유원지 166,161㎡, 종교용지 844,999.3㎡, 사적지 28,828.5㎡, 묘지 1,532,716㎡, 잡종지 19,801,468.8㎡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행위가 가능한 경사도 15° 미만 지역이 593.3㎢로 전체 면적의 86.1%을 차지한다. 2017년 기준으로 화성시는 비도시지역[59.2%]이 도시지역[40.8%]보다 넓으며, 화성시 도시지역 면적은 주거지역 6.64%, 상업지역 0.76%, 공업지역 1.87%, 녹지지역 31.07%, 미지정 0.37%를 차지한다.
화성시 내 도로망을 살펴보면, 고속국도 6개, 일반국도 5개, 지방도 13개, 국가지원지방도 4개 노선이 건설 및 운영되고 있으며 화성시를 통과하는 철도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고속철도, 수서평택고속선, 경부선으로 총 4개 철도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2021년 6월 자동차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총 468,019대가 등록되어 있으며, 업종별로 관용 926대, 자가용 454,652대, 영업용 12,441대로 나타난다. 이 중 387,790대는 승용차, 14,054대는 승합차, 64,606대는 화물차, 1,569대는 특수차로 차종이 확인된다.
화성시와 화성도시공사는 수도권에서 최초로 버스공영제를 도입하였다. 2020년 11월 3일 화성도시공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공영버스의 첫 운행 개시를 시작으로 민간 버스업체에서 운행이 어려운 화성시 서부권의 교통 소외지역과 동부권의 신도시 지역에 대한 단계적 공영버스 공급 확대와 공공성이 보다 강화된 버스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 화성시의 기업 현황을 살펴보면 업종별로는 기계금속이 3,959개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이어 화학 1,327개, 전기전자 1,315개가 확인되며 목재제지, 식품, 비금속광물, 섬유피혁 등의 업종이 총 8,228개이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30개, 중소기업 478개, 소기업 7,720개이다.
화성시의 「2040 장기발전계획 총괄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기준으로 화성시 사업체 수가 경기도 내 사업체 수의 6.3%를 차지하는 것에 비해, 종사자 수는 8.5%, 생산액은 14.4%를 차지해 사업체 수 대비 종사자 수 및 생산액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종사자 수 비중은 경기도가 1차 산업 0.1%, 2차 산업 26.9%, 3차 산업 73.0%인 것에 비해 화성시는 1차 산업 0.1%, 2차 산업 53.5%, 3차 산업 46.4%로 2차 산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화성시의 2차 산업 종사자 수의 1인당 생산액은 546.5백만 원으로, 경기도 366.8백만 원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화성시 취업률은 64.7%로 경기도보다 1.9% 낮으며 실업률은 유사한 수준이다.
2018년 기준 화성시 재정자립도는 64.21%로 경기도 지방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재정자주도는 77.4%로 경기도 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재정건전성은 경기도 내에서 가장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성시에는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국화도, 궁평 해송군락지, 궁평항, 비봉습지공원, 송산그린시티전망대, 전곡항, 제부도, 화성시 우리꽃 식물원 등의 자연 관광지, 남양성모성지, 남양향교, 매향리 평화역사관, 봉림사, 신빈김씨묘역, 화성시 역사박물관, 용주사,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화성 3.1운동만세길, 화성 당성, 융건릉 등의 역사 관광지, 노작홍사용문학관, 화성시어린이문화센터 등의 문화 관광지, 공생염전, 돌샘터체험학습장, 라바팜스토리, 물가풍경 자연생태농원, 반석산 에코스쿨, 배혜정도가, 백미리 어촌체험마을, 예랑도예원, 진주목장, 창문아트센터, 향남오토캠핑장 등의 체험 관광지를 비롯하여 화성식염온천, 백미응서재, 옥란재, 월문온천, 하피랜드, 화성 드림파크 등의 관광지가 있다.
2020년 화성시는 화성시문화관광 홈페이지에 VR투어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한 지역축제 개최 계획에 의하면 화성시에서는 화성뱃놀이축제, 정조효행문화제[정조대왕능행차 화성구간], 화성송산포도축제, 품앗이 공연예술축제 등이 있다.
2021년 기준 화성시는 중국 강소성 소주시 오강구,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나비시와 자매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베트남의 푸토성과 다낭시, 중국의 산동성 위해시·하북성 형대시와 우호도시로서 관계를 맺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특별시 송파구·서초구·성북구·성동구·강남구, 전라남도 완도군, 경기도 부천시, 강원도 평창군, 경상남도 합천군·고성군, 광주광역시 남구와 자매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2021년 경기도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의 화성시 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총 358개 교로 공립유치원 115개, 사립유치원 65개, 초등학교 104개, 공립중학교 34개, 사립중학교 9개, 공립고등학교 22개, 사립고등학교 6개, 특수학교 3개 교가 있다. 학생 수는 총 136,928명이며, 교원 수는 총 10,104명이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수원과학대학교, 수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수원가톨릭대학교, 신경대학교, 장안대학교, 협성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