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459 |
---|---|
한자 | 馬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
집필자 | 임영진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지역에 있었던 고대의 소국 연맹체.
[개설]
마한은 삼국 시대 이전에 진한·변한과 함께 삼한을 구성하였던 소국 연맹체 중 하나이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54개 소국들이 연맹체를 이루고 발전하다가 한강 하류 지역에서 건국한 백제에 의해 병합되어 소멸하였다. 백제에 의한 병합 과정에서 마한의 주민 가운데 일부는 일본 열도로 이주하여 새로운 문물을 전해 주기도 하였다.
[성립과 변천]
마한은 기원전 3세기경부터 형성되었으며 한반도 중서부 일대에서 점차 권역별 연맹체를 이루어 나갔다. 초기에는 아산만 지역이 중심지였지만 한강 유역권에 자리한 백제가 마한의 일개 소국에서 고대 국가의 형태로 발전하며 영역을 확장해 나아감에 따라 점차 남쪽으로 중심지를 옮기게 되었다. 4세기경에는 금강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5세기경에는 영산강 유역이 중심이 되어 6세기 초까지 발전하다가 백제에 통합되었다. 화순 지역에서는 지석천을 중심으로 3~6세기경의 고분과 집자리 유적이 조사되고 있는데, 이는 화순 지역에 마한의 소국이 자리 잡고 있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사회 성격]
마한은 54개 소국으로 이루어졌다. 54개 소국 중 큰 국가는 1만여 호, 작은 국가는 수천 호 규모였으며, 모두 합쳐 10만여 호에 달하였다. 삼한 가운데 가장 큰 세력을 이루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목지국의 지도자가 마한왕 또는 진왕으로 추대되어 삼한을 주도하였다.
마한 소국들은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었다. 종교와 농경에 대한 의례는 천군이 주도자가 되어 소도라고 하는 신성한 곳에서 주관하였다. 소도에서는 해마다 씨를 뿌리는 5월과 곡식을 수확하는 10월에 제사를 지냈다. 죄인이 소도에 숨으면 죄를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잡아가지 못하였다.
전라남도 화순군의 지석천 유역에서는 직경 30m 내외 규모의 고분들이 확인되는데, 이를 근거로 마한 54개 소국에 속하는 정치체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제기된다. 화순 지역에 있었던 마한의 소국을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이라고 비정하기도 한다.
[소멸]
전라남도 지역에 남아 있던 마지막 마한 소국들이 백제에 완전히 병합된 시기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 기사를 바탕으로 4세기 중엽 근초고왕 시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해당 기록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또한 고고학적 관점에서 보면 전라남도 지역에는 6세기 초까지 백제와 무관한 대형 독무덤과 이에 이어 영산강식 돌방무덤이 성행하였기 때문에 4세기 중엽설과 맞지 않는다.
백제의 지방 조직은 6세기 중엽 22담로에서 37군으로 바뀌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15개 정도의 소국으로 구성되었던 마지막 마한 세력이 이 시기 백제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제는 3세기 말경에 아산만 지역을 병합한 이후 4세기 중엽경에는 전라북도 지역을 흡수하였고, 6세기 중엽경에 이르러 전라남도 지역을 순차적으로 병합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화순 지역의 대규모 고분은 6세기 초 이후 더 이상 축조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백제의 팽창 과정과 상통한다.